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 책 제목 :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 저자 : EBS <자본주의> 제작팀 정지은, 고희정
- 출판사 : 가나
- 읽은날짜 : 24.05.17 ~ 24.05.27
- 키워드 : #자본주의 원리 #빚=돈 #인플레이션
- 한줄평 :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알아야 하는 기본 지식!
- 도서를 읽고 내점수는 (10점만점에 ~ 몇점?) : 10점
1. 어떤 책인가? :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라는 공기 같은 사회 본질을 알아야 생존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자본주의가 어떤 것인지, 소비를 부추기는 사회가 왜 그런 것인지 낱낱이 알려주는 입문서이다.
모르고 정직하게 살아가는 것이 미덕이 아닌 이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현명할까?
2. 이 책에서 얻은것과 알게 된점 그리고 느낀점 :
2년 전 독서후기 : https://cafe.naver.com/wecando7/4700154
2년만에 읽었다! 그때와 내가 보는 시야가 많이 달라졌다는 것을 느꼈다.
열기4547기 동료들과 슬쩍 이야기 해봤을 때, 의견을 내주신 동료님들이 거의 다 비슷한 감상을 주셨다.
경제에 대한 눈이 많이 트인 것 같다.
예전에는 책에 낙서하는걸 싫어해서 완전 새책처럼 깨끗했다 ㅋㅋㅋ
이번에는 읽으면서 적고 정리하니 더 머릿속에 잘 남는 기분이었다.
돈독모에서 왜 이 책을 선정하셨을까?
강의에서 현재 시기와 비슷하다고 말씀하신 2010년 정도로 비슷한 시기인 2012년에 방송했으니,
지금 시기에 돈독모 책으로 선정된 이유는 인플레이션을 지나 디플레이션이 다가올지 모르니 대비하라는 의도일까?
3. 책을 읽고 해야할 일 (원 액션)
231페이지 - 나의 소비지수 측정하기! 그러기 위해서는
1. 전달 가계부 정리하고
2. 소비지수 측정해보고
3. 저축비율 조정하기
4. 내용 및 줄거리 :
가장 인상 깊었던 문구
90 자본주의 구조 안에서 돈은 빚이다. 이자가 존재하지 않는 시스템 안에서 우리는 돈의 노예가 될 수 밖에 없을지도 모른다. 누군가가 파산을 해야 누군가가 돈을 벌 수 있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욱더 우리는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안목을 가져야한다. 미국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래서 우리나라 금융 정책은 어떻게 바뀔지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자본주의 시스템 때문에 피해를 입었다고 구조적인 것을 탓해 봐야 우리에게 남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아무런 도움을 받을 수 없다.
또 지금은 디플레이션 시대이다. 경기불황은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고 회복될 기미는 쉽사리 보이지 않을 것이다. 돈을 빌려가라고, 흥청망청 써도 괜찮다고 아무리 유혹하더라도 스스로 중심을 잡아야 한다. 나와 내 가족을 위해서 말이다.
1장. <빚=돈, 통화량=물가>
자본주의의 구조적 문제. 빚으로 성장하는 자본주의.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반족. 현재는 어떤 시점인가? 대비하자.
민간기업인 FRB에 미국과 전세계 경제가 달렸다. 내 미래도 더불어.
2장. 은행은 이익집단이다.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내가 이해하지 못했다면 금융상품을 구매해서는 안된다. 그것이 오랜 시간을 소비해야한다면 더더욱!
역사를 알아야 하는 이유.
3장. 소비=감정=습관=마케팅으로 잉여생산물 소비
무의식의 영역 -> 합리화 -> 이성적인 소비를 한다는 착각.
불안심리 자극해서 소비를 부추기는 자본주의 사회
해법은 자존감 높이기. 나를 들여다보기
4장. 자본주의 철학의 변천사
아담스미스 - 이기심이 모여서 경제를 이룬다. 가만히 자유경제로 놔두면 알아서 시장경제가 돌아간다.
마르크스 - 노동자는 왜 가난한가? 자본가는 부자가 되는가? 착취하는 자본주의의 본질을 꿰뚫다.
케인스 - 거시경제학, 미시경제는 개개인에게 맡기고 큰 경제는 정부가 주도해야한다. 정부의 완전고용 책임, 평등분배.
하이에크 - 신자유주의. 고통스럽고 시간이 걸려도 시장의 힘을 믿어야한다. 아담스미스의 정신 계승. 정부가 너무 커지면 안된다.
5. 내가 뽑는 발제문 :
231 자신의 소비 성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게 해주는 '소비지수'를 측정해 보자.
100만원을 벌어서 100만원을 다 쓰고 저축을 전혀 하지 않으면 과소비 지수는 1. 바로 재정적인 파탄 상태를 의미한다.
만약 100만원을 벌어서 30만원을 저축하면 과소비 지수는 0.7. 과소비 상태이다.
40만원을 저축하면 과소비 지수는 0.6으로 적정소비 상태이고,
50만원 이상 저축하면 과소비 지수 0.5로 조금 지나친 근검절약형, 즉 흔히 말하는 '구두쇠'라고 할 수 있다.
발제문 → 여러분의 소비지수는 얼마인가요?
현재 소비지수에서 적정소비, 혹은 근검절약형으로 가기 위해서는 불안심리를 해소해야 합니다.
어떨 때 불안해서 돈을 쓰게 되나요? 지출 내역을 보고 차근차근 왜 썼는지, 그때의 심리상태가 어떤 불안이 있었는지 이야기 해보고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의논해봅시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만한 책 한권을 뽑는다면? :
노후를 위해 집을 이용하라 - 지금 읽는 중인데 초반이 거의 자본주의 복습판이다.
7. 관련 링크 모음 :
<6월 돈독모 - 자본주의 영상 모음>
월부TV모음
- 일만해선 죽어도 돈 못 버는 이유 (2021. 7. 13) : https://youtu.be/7WgHa9T9d7I
- 손실 90% 은행사기, 당신만 모르는 무서운 상황 (2021. 7. 24) : https://youtu.be/Ay-dWUvyJio
- 인플레이션 끝나면 부동산 이렇게 됩니다 (2021. 7. 20) : https://youtu.be/xg2kRLiBA4o
- 진짜 부자가 답답해서 알려주는 돈 쓰는법 (2021. 7. 27) : https://youtu.be/KudErNmG2gc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영상 모음
- 자본주의 제1부 돈은 빚이다 : https://youtu.be/FUXT_m6nzhg
- 자본주의 제2부 소비는 감정이다 : https://youtu.be/JswklI5vrBk
- 자본주의 제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 https://youtu.be/Iu-w6STAz64
- 자본주의 제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 https://youtu.be/LaGYPiGXynU
- 자본주의 제5부 국가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 https://youtu.be/4eubp98wKzs
- 길게 이어놓은 4시간 40분짜리 영상으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로!
(제일 최신! : 24년 3월 23일 ebs 공식 업로드)
https://youtu.be/ahNyJgDZmkc?si=Dh_cLHAGOhmGJMa-
- 짧게 나눠놓은 영상으로 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로!
(8분 내외로 짧게 끊은 영상 31개 모음 : 2012년 12월 11일 업로드)
https://www.youtube.com/watch?v=JCSo1K4rm0I&list=PLvNzObWMMx6uP9JqxTNxhuCrxVfIt8HFu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