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 버는 독서 모임] 자본주의 - 독서 후기

  • 24.06.12

책 제목 : 자본주의

저자 및 출판사 : EBS 자본주의 제작팀,정지은,고희정 / 가나출판사 

읽은 날짜 :  24. 06.09-12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빚  #소비마케팅과 심리  #복지자본주의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점!



1. 도서소개/내용 및 줄거리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자본주의의 진실!


『자본주의』는 자본주의를 쉽게 풀어낸 방송,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5부작’을 책으로 엮은 것이다. 지갑 속 돈과 통장, 매달 갚아야 할 대출금과 이자, 살고 있는 집의 가격 등 이 모든 것이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자유롭지 못한 오늘날, 세계 최고의 석학들을 만나 돈에 관한 진실과 자본주의의 비밀을 밝혀낸다. 그리고 무의식중에 우리를 나락으로 빠뜨리는 자본주의의 유혹과 위협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지도 알려준다. 이 책에서 독자들은 자신이 돈을 알맞게 쓰고 있는지 체크해 볼 수 있고, 자신을 지키며 행복하게 소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2.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처음 책을 시작하기 전에는 내용이 어려울 것 같아 지레 겁을 먹었다.

근데 막상 책을 읽기 시작하니 너무 재밌어서 빠르게 책을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자본주의의 역사와 발전, 사회적 배경 등, 금융상품과 소비 마케팅과 관련된 심리, 앞으로 자본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 등



3.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18] 자본주의 세상의 현실에서는 절대로 물가가 내려갈 수 없다.

[21]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는 비밀은 바로 '돈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23]'돈의 양'이 끊임없이 많아져야만 한다. 그것이 바로 자본주의 사회이다.

[30] 은행이 하는 일의 본질은 '없던 돈을 만들어내는 일'이다.

[53] 은행도 중앙은행도 자본주의 시스템 안에서 지속적으로 돈의 양을 늘리면서 인플레이션에 기여를 하고 있는 셈이다.

[61] 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부인할 수 없는 '숙명'이다.(왜냐하면 이제껏 누렸던 호황이라는 것이 진정한 돈이 아닌 빚으로 쌓아올린 것이기 때문이다)

[63] 내가 대출이자를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한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이자가 없다'는 말은 '누군가는 파산한다'라는 말

[70] 자본주의에서 돈이 있는 사람들은 이 '빚'때문에 더 많은 돈을 벌고, 돈이 없는 사람들은 바로 이것 때문에 파멸에 이른다.

[80] 달러를 찍어내는 FRB는 민간은행이다: 용어만 federal이라고 사용했을 뿐 정부기관이 아닌 순수한 민간은행에 불과하다.

[86] 한마디로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것은 미국 정부가 아니라, 극소수의 금융자본가들인 것이다.

[90] 지금은 디플레이션 시대다. 경기불황은 오랫동안 지속될 것이고 회복될 기미는 쉽사리 보이지 않을 것이다. 돈을 빌려가라고 흥청망청 써도 괜찮다고 아무리 유혹하더라도 스스로 중심을 잡아야 한다.

[126] 마크 트웨인-'은행은 맑은 날에는 우산을 빌려줬다가 비가 오면 우산을 걷는다'

[173]실제 투자할 나이가 되면 재교육이 필요하며, 여기엔 투자의 위험성에 관한 것도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


"한 나라를 정복해 예속시키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칼로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빚으로 하는 것이다"-존 애덤스


[203] 결국 성인이 된 우리의 소비 습관과 성향은 이미 수십 년간 진행된 '키즈 마케팅'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매 순간 합리적으로 결정해서 소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어린 시절에 형성되었던 습관의 산물로 소비하게 된다.


[219] '사고 싶다'고 느끼면 '필요한' 것 같다: 쇼핑은 무의식이다.

[225~] 마케팅의 꿈은 브랜드가 되는 것; '쿨 스팟'의 활성화 - '내 생각에 당신은 돈이 많은 거 가탕요'

[228] 브랜드는 뇌의 깊숙한 부분, '편도'에 저장, 편도는 대뇌변연계의 감정조절을 담당

이 편도가 자극받아 빛나면 '지름신'강림! 편도에 자리잡은 브랜드를 보면 우리 뇌는 '자동모드'로 전환

[243] 사회적으로 배척을 당했을 때는 이를 보완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고 타인에게 '나는 이런 사람이다'라는 것을 드러내고 싶은 마음이 생겨난다. 이것이 과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260] 사람들 내부에는 '현실적인 나'와 '이상적인 나'가 있다. 현실의 나는 늘 이상적인 나를 따라가려고 애쓴다. 하지만 둘 사이에는 언제나 거리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 간극을 메우기 위한 행위로 소비를 하는 것이다.


<모두가 잘살게 될 거라는 아담 스미스의 예언도 틀렸고, 혁명이 일어나 자본주의가 무너질 것이라는 칼 마르크스의 예언도 틀렸다. 정부가 규제해야 한다는 케인스도, 시장을 믿어야 한다는 하이에크도 이제 더 이상 해결책을 주지 못하고 있다. 모두들 심혈을 기울여 자본주 의를 변화시킬 대안을 내놓았지만 여전히 자본주의는 온갖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인류의 역사 500만 년을 하루 24시간으로 환산했을 때 자본주의가 출현한 시간은 23시 59분 56초.

문제가 있다고 해서 다시 봉건제로 돌아갈 수는 없다. 이제 유일한 대안은 자 본주의를 수정하고 변화시키면서 '모두가 함께 잘살 수 있는 자본주의를 만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372] 공황은 '분배의 불균형'에서 발행, 경제성장은 제대로 된 분배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가난한 자의 주머니를 채워라. 그러면 소비가 촉진된다.'

[385] 자본주의의 혜택은 이제 99%의 평범한 사람들에게 돌아갈 때가 되었다.


4.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318

: 어떻게 보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도 바로 이러한 부분이다. 경제를 보는 것이 아니고, 돈을 보는 것이 아니고, 분배의 시스템을 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봐야 한다는 것. 그래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고통을 생각하고, 그것을 덜어주기 위한 따뜻한 마음에서부터 우리의 경제를 다시 보고 재구축해 가야 하는 것이다.



5.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아담 스미스 [국부론]



댓글


룰루lulu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