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깨달은점, 의문점, 적용할점 위주 정리
ㅇ 서울, 대구, 부산 / 대전, 광주 : 차이는 '빈땅', '확장불가능', '입지독점성'
ㅇ 각 구별 대표 대기업, '강동구에 삼성 엔지니어링이 있었네?'
ㅇ 학업성취도 비공개 이후에 어떻게 판단하는가
-나는 '학군 선호도 인적지표로 물어봐서 알아왔다. 특히 강남구 등 학군지'
-부동산, 주변에 물어봐야할듯.
ㅇ압구정 3구역 1/2차, 4차 가격 비교 흥미로웠다.
-대지지분 차이에도 불구하고 좁혀지는 시기도 있었네?(물론 거래가 많지 않아서 겠지만)
ㅇ작년도 일원동 푸른마을 트래킹 했었는데, 가격 저점기간이 정말 순식간에 지나가서 아쉽다.
-결국 꾸준한 트래킹 뿐만 아니라 '투자금 준비', '실행결단력'이 필요 한 것이었다.
ㅇ 노량진 8구역(이편한세상, 철거 중이던데?) 왼편 구축 단지 임장 필요
-구축도 기대감에 가격이 오버슈팅된 것이라면? 그냥 좋은거 사는게 나을수도.
ㅇ 영등포 당산동 학군 나름 있는게 놀라웠다. (당산서중, 양화중, 당산중)
ㅇ 대규모입주(잠실엘리트, 08년)시점 전세변동률 : 동작, 영등포까지 미침. 구로는 안미침.
ㅇ 도곡쌍용예가 vs 도곡래미안 카운티
-학군도 있긴 한데, "리모델링단지라 구조가 이상해서 가격차이가 나는거 아닌가?"
ㅇ 신길뉴타운 위쪽 구축(래미안, 한성) 과연 적정가격일까? 차라리 신길뉴타운 아파트 좋은거 사는게 나을 수도?
ㅇ 아파트 비교시 교통과 학군환경 등 입지의 비중을 어느정도 둬야 할지 고민이 된다.
-예: 신길경남(1,5 신길역, 교통깡패, 비균질) vs 한성(신림선, 아래쪽으로는 약간균질)
ㅇ임장 후 '반드시 시세 확인할 단지 선정한다음, 트래킹 필요'
-생활권별로 1)랜드마크, 2)2000년대 준구축, 3)재건축 구축 선정
ㅇ 흑석동 끄트머리 우리유앤미, 동양 시세흐름 조사 하기
-얘네들 오를 때 다른데는 훨씬 오를거 같은데, 흐름이 언제올지? 비슷한 지역 사례 연구 필요
ㅇ 동작 본동, 신대방 임장 가기
ㅇ 알래스카같이 생긴(당산동, 문래동) 임장 가기
ㅇ 임장다녀온 지역 시세 확인 루틴 및 매일 부동산 전화하기!
- 전세가격 올라오고 있는 지역있다 -> 전수조사하여 투자진행 여부 확인
ㅇ 가격고정하고 단지 비교 제대로 여러건 해보자
-많이보다 제대로 하는게 중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