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몽그릿입니다 :)
어느덧 실전반도 튜터링 데이끝나고 4주차까지 강의를 들으면서
벌써 끝나가고 있다는게 느껴지는 현재입니다. 내가 원하는 목표를위해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다보니 어느덧 상반기도 지나가면서 시간이 참빠르다 느끼는 요즘입니다.
하루하루 힘들지만 함께하는 진삼즈 동료들, 그리고 항상응원해주는 진담 튜터님이 계셔서
한달을 재밌게 투자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어 다시한번 감사하다 생각했습니다!
이번 4강은 식빵파파님이 비교평가에 대해서 강의해주셨는데, 지난 지방기초반에서
대구지역 지역분석 강의를 통해 한번 들어봤는데 역시 강의를 정말 잘하시구나
느꼈습니다. 정말 쉽게 수도권 비교 평가 하는 '방법'에 대해서 가이드를 잡아주셔서
이번 임장지에서 부터 결론을 낼 때 적용을 해봐야겠다 생각했습니다.
강의를 듣고 적용해볼 3가지와 그 중 꼭해야 할 원씽 위주로 작성해보겠습니다.
1.지역별 특징을 고려해서 비교평가한다
강남접근성, 환경, 학군을 기준으로 비교평가는 기본적으로 진행하지만
각 지역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을 이해해서 진행해야 한다는 말이 와닿았습니다.
어떤 지역은 강남접근성이 비슷하기 때문에 환경이나 학군을 조금 더 비중을 둬야한다고..!
그래서 임장과 임보를 통해서 그 지역의 선호요소와 특징을 파악하는게 중요하다 생각했습니다.
결국 비교평가의 기본은 지역의 특징을 이해하는 '임장'과 '임보'임을 이해했습니다.
2.비교평가 검증은 결론을 내리고나서 검증
요즘 제가 겪고 있는 '가격충'의 늪이 빠진 상태인 것 같습니다. 단지끼리
어떤것이 더 선호도가 있을까? 고민을 하던 도중 무작정 그래프를 맞춰보려는
습관이 어느덧 생기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프를 붙여서 검증해서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내가 두 지역에 대해서 손품과 발품을
판 정보들로 내가 결론을 내리고 검증단계에서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했습니다.
나라면 어디에 살까? 기준으로 손품과 발품을 기준을 가지고 결론을 내리고
앞으로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3.시세트래킹으로 투자로 연결 시키기
이번 강의에 딱 하나는 반드시 해야 한다면 이 부분으로 선정했습니다.
시세트래킹이 투자를 하고, 앞마당을 선명하게 만드는 과정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지만
투자로 직접적으로 연결 시킬 수 있는 확신을 가질 수 있는 부분은
가격변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부분을 놓쳤습니다. 우리가 보는 아실, 호갱노노의 그래프는
실거래의 기준만 적혀있지, 호가의 대한 가격변화흐름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시장의 분위기나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늦어도 매달, 그리고 더나아가서 주기를 줄이면서 내 앞마당의 시세트래킹을 통해
가격변화의 흐름을 이해하고 투자로 연결 시킬 수 있도록 트레킹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