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는 실전반 후반부인 4강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실전반 4강은 비교평가 강의로 식빵파파튜터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임보작성에서 모두의 고민
가장 어려우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결론파트 작성!
식빵파파튜터님의 강의를 듣다보니
처음 실전반을 들을 때 결론파트 작성으로
엄청 고민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수도권 비교평가를 누구보다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을 알려주신 식빵파파 튜터님의
강의 후기 시작해보겠습니다. 꼬꼬꼬-
비교평가의 기준
수도권에서 땅의 가치 즉, 입지독점성이 중요하다는 것은
제일 기본적인 것이자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저도 잘 알고 있는 내용인데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생각해보니
막상 임보를 쓸 때에는 이것을 기준으로
비교해보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번 강의를 듣고 임보에 적용해보니
입지가 안 좋은 곳이라고 생각했던 곳인데
강남까지의 시간을 찾아보면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 단지들도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비교평가할 때 가장 어려울 때가
'A단지보다 B단지가 강남까지 가는 시간은 오래걸리지만
연식은 훨씬 좋아'
이렇게 장점과 단점을 각각 지니고 있을 때
비교평가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더라구요ㅠㅠ
이와 비슷한 다양한 사례들로
어떻게 비교평가를 하는지 알려주셔서
너무 좋았습니다.
이번 비교평가에서 적용해서
그래프부터 무작정 갖다붙이는 대신!
가치에 집중해서 나 스스로
판단해보는 연습을 많이 해보아야겠습니다.
기초반 강의들에서도 항상 듣던 내용이고
많은 튜터님들, 멘보님들께서 강조해주시는 부분이라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적용하는 것은 또 다르다는 사실도 깨닫게 되었습니다.
강의 내용을 듣고 이해하는 것을 넘어
투자에 적용! 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는 강의였습니다.
B.M. 단지분석, 비교평가 장표에 입지독점성 넣기
아는 것에 그치지 말고 강의 내용을 투자에 적용할 것 3개 이상 찾기
동특
수도권 중에서도 지방의 특징을 가진다는 말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저도 이런 말을 들어봤지만 정확한 의미는 모르고
'입지독점성이 약해 지방 투자하는 관점으로 접근해야하는 곳' 정도로 이해했던 거 같습니다.
수도권이지만 이런 동특을 가지는 곳들은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에 따라 판단이 어려운데요.
'동특'을 가지는 지역들의 특징과
이런 지역들은 어떤 기준으로 비교평가를 할 수 있는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수도권 지역들 중 원래 기준으로 비교평가 할 수 없는 지역들은
이러한 동특을 적용해서
비교평가 진행해보겠습니다..!
지역 내 비교, 지역 간 비교, 앞마당 관리법까지
모두 알려주신 식빵파파튜터님 감사합니다.
가장 알고 싶었던 부분이기도 하고
임보에서 가장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었는데
이번 강의 내용을 bm해서 임보에 적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B.M. 시세트래킹을 하면서도 앞마당끼리 비교평가할 수 있는 양식 만들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