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국입니다.
실전반 4강 강의는 식빵파파님께서 해주셨습니다.
늘 강의를 들을 땐 '아하'하고 이해되었던 내용들인데...
그러나 내가 임보에 직접 해보고 적용해보려고 하면 멈칫하다 은근슬쩍 빼게 되는 장표들...
이번 4강에서는 어떻게 접근해야할 지 몰랐던 내용들을 포함하여 큰 틀에서의 비교평가 절차 및 방법과 세세한 사례들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내용들을 다루어주셨습니다.
정밀한 비교평가가 필요한 이유
정밀한 비교평가를 위해 고려해야 할 지역별 특징
수도권에서 비교평가를 할 때 잡아야 할 기준
입지인가 단지인가
강의에서 다루어주시는 사례와 이야기를 들으면서,
'우리는 지역, 생활권, 그 동에 투자하는 것이 아닌 아파트 단지 하나에 투자하는 것이다.'라고 말씀해주셨던 망구튜터님의 말씀이 한 번 더 또렷하게 떠올랐습니다.
임장을 가고 임보를 쓸 때도 모든 것이 투자로 귀결되어야 한다!
제대로 된 비교평가를 위해서는 단지의 가치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 단지의 가치는 손품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단지임장을 꼼꼼하게 하고 단지 안 밖을 제대로 확인해야 한다
--> 현장에 가야만이 확인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 수치와 등급 비교 만으로는 담기지 않는 것들을 현장에서 확인할 것.
--> 입지와 단지선호도 비교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할 지 참고하여 이 툴로 단지 비교평가 해보기
투자 의사 결정 과정
투자 의사 결정 과정은 반드시 하고 넘어가야 한다.
의사 결정 과정을 꾸준히 연습하는 것... 이 한 끗 차이가 주는 성과의 차이가 튜터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분명히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M.
(1) 주요 입지를 막대 위에 올려두고 비교할 수 있도록 임보에 적용해보기
(2) 비교 평가 검증 수단으로 전고점 비교해보기
(3) 투자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 따라 이번 임장지 내에서의 비교 평가 해보기
-투자 가능한 단지의 가치를 파악할 때 유의해야 할 점
-'나라면' 어느 단지에 더 살고 싶은지 생각해보기
-최종 투자 결정 단지를 정하고 부가 설명 적어보기
(4) 한 번 할 때마다 마음을 먹어야만 겨우 시작했던 시세트래킹...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지 수를 감당가능한 수준으로 줄이고 더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한 기준을 잡기
구체적으로 일러주신 내용들을 앞으로의 임장과 임보에 꼭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이번에 진짜 찐 선배 튜터님의 경험을 레버리지 할 수 있는 강의였지않나 싶어요...! 국님 지투랑 동시에 하느라 쉽지 않을텐데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