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든든한 큰누나가 되고 싶은 큰나입니다.
실전반이 어느덧 4주차가 지나가며
최임 제출을 앞두고 있습니다..ㅎㅎㅎ
언제나 어려운 임보 결론파트!! 1등 뽑기!!!
이 어려움을 해결해 주시고자 4주차에는
'서울수도권 시장에서 제대로 된 비교평가 하는 법'
에 대한 강의를 식빵파파님께서 해주셨습니다.
너무나 명쾌하고 속 시원했던 이번 강의의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1. 소개 및 강의목표
1) 현재 서울수도권 시장
2) 실전반 수강생들의 어려움, 고민
3) 비교평가 왜 어려운가?
2. 지역 내 비교평가 : 지역별 특징을 고려한 비교평가
1) 아파트 비교평가 요소 : 땅의 가치에 따라 비중 조절
2) 비교평가 방법 및 순서
(1) 지역별 특징 확인
(2) 가치와 가격 비교평가
(3) 비교평가 검증
3)동특
3. 지역 간 비교평가
1) 다른 땅의 가치끼리
(1) 비교평가 방법 및 순서
-땅의 가치 확인
-단지선호도 비교평가
-비교평가 검증
2) 같은 땅의 가치끼리
(1) 비교평가 방법 및 순서
-땅의 가치 확인
-단지선호도 비교평가
-비교평가 검증
4. 최종 투자 의사 결정 과정
1) 지역 내 투자 의사 결정 과정
-내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단지 파악
-투자 가능 단지 가치 파악
-투자 의사 결정
2) 지역 간 투자 의사 결정 과정
-내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단지 파악
-투자 가능 단지 가치 파악
-투자 의사 결정
3) 최종 투자 결정 단지
5. 비교평가를 위한 앞마당 관리
1) 시세트레킹
(1) 단지 선별 방법
(2) 시세트레킹 후 남겨야 하는 것
2) 군별 시세트레킹
그 동안 비교평가를 할 때는 가격, 연식, 평형, 입지, 선호도 등등 고려해야 할 조건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그 조건들을 고정해서 맞추기가 쉽지 않았었다.(거의 대부분 가격만 고정..ㅎㅎ) 특히 나는 서울수도권 앞마당이 별로 없기 때문에 지역 간 비교가 참 애매했는데, 이번 강의에서 여러 조건들 중 어떤 것은 꼭 고정해야 하는지, 비교할 때 어떤 요소에 조금 더 비중을 둬야 하는지, 비중을 두는 요소를 선택하는 기준은 무엇인지 등을 정말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었다. 그리고 군별 시세트레킹이 참 새로웠는데, 지금은 시세트레킹 자체도 어렵긴 하지만ㅋㅋ 다음에 같은 군의 서울수도권 앞마당이 생긴다면 꼭 적용해보고 싶다.
댓글
큰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