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소액투자에 대한 고민해결
-단지를 볼 때에는 '나쁘지 않네, 살만하네!(가치) 그래서 가격은(싸다&투자금)?' 생각 프로세스 익히기
(딱 봐도 좋은 단지는 아닐 수 O)
-수익 자체 보다는 적은 투자금&높은 수익률 보기!
연식 구분 방법
-신축의 기준은? 기본집에서 수리를 안해도 전세 들어올 정도(명확X, 느낌!)
✨적용해보고 싶은 점
임보에 반영할 것
-가격결정요소 찾기 프로세스(49p)
-투자대상 정리(79p)/투자금 확인(89p)/공급 질적 분석(97p) 및 임장지 공급상황 정리(103p)
데이터 해석
-주택가격심리지수(KB부동산): 매도세 하락=상승장(비싸게 팔고 싶으니까)/매수세 하락=하락장
-전고점이 지지난 전고점 못 넘으면 저가치단지(이런 지역은 신축 위주로 보기)
-생활권 선호도 파악하기 위해 과거 전세가 흐름을 통해 검증해 볼 수 있음(공급영향 관련, 101p)
발품
-사람들, 분위기 반전 보기
-초보자는 매물 많이 봐서 가격 기억에 남기기!
가격결정요소
-가격결정요소 찾기: 지역 특성파악 -> 가치 판단(우선순위) -> 가격 연결 -> 비교평가(49p)
(입지요소+선호요소 사실 나열 -> 가격과 매칭하면서 논리 검증/손품+발품+거주민이야기+매임 필요)
-지역마다 가격결정요소가 다르다(공감 필수)
-현장임장과 임보로 선호도 제대로 파악하기!(완전한 규칙X)
-주요 직장과의 접근성은 중요
지방투자 핵심
-싼 가격+투자금(수익률 200%)+리스크
-투자결론 NOTE 정리해보기!(73p)
투자
-투자=저평가+투자금+리스크(저평가 1등이라고 투자 1등은 아님!)
-내 상황에 맞게 생각하기
실전투자 확인사항
-투자대상(79p)/투자금(수익률 200%, 목표매수가/전세가 설정, 89p)/리스크(역전세, 가격하락)
-공급분석: 양적 분석+질적 분석(영향:위치+세대수+시기, 97p)
-공급분석2: 지역별 투자 NOTE 정리 의미있을 것!(103p)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