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족과 함께 하는 삶을 살고 싶은 율랑해 입니다.
저에게 있어 임보는 참 큰 산같은 허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게리롱 튜터님께서는 한번도 같은 임보를 써본적이 없다고 하셨습니다.
매달 한부분이라도 업그레이드 하셨고
이해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내 투자에 적용해야겠다라는 생각이 중요하다고 일침하셨습니다.
개인적으로 투자를 진행하지 못하는 상황, 인풋을 쏟지 못하는 상황 늘 상황에 맞춰
그저 강의 내용을 이해했다고만 한건 아닌지
이해에서 끝이 아닌 앎으로 가기 위해서는 내가 아는 것을 적용시키고 행동으로 옮기고 있는지?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1등뽑기의 프로세스
1)가격을'고정'하고 가치를 비교
-같은 가격이면 더 좋은 것
2)가치를 ‘고정’하고 가격을 비교
-비슷한 가치 이면 더 싼 것
지역내 비교평가 프로세스
가치, 저평가 =비교평가
수익성, 리스크
=우리가 비교평가를 어려워 하는 이유는 가치를 모르기 때문이다.
*선호요소(학군,환경,커뮤니티) 상품성(연식,브랜드,대단지) 입지(위상 그자체)를 통해 가치를 파악하고 그다음에 가격을 확인한다.
-우선 가치파악보다 가격이라는 프페임에 가치를 접목시키지는 않았나? 그랬던거 같다
그래프를 통한 가치 비교
흐름이 같은 지역 내 단지끼리 비교
-지역마다 시장 싸이클이 다르게 흘러가기 때문에 흐름이 같은 지역 내 단지를 비교할때 유의미 하다.
5년 이상 지난 단지로 비교
-항상 가치와 가격이 같지 않다=기간이 너무 짧으면 판단에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단지 갯수는 가급적 3개 이해로 비교
-그래프 비교의 적을 잘 파악해야 한다.
*현장에서 가치 파악이 제대로 안되었다면 그래프 비교는 더 헷갈리게 만들 뿐이다.
현장에서 가치파악을 먼저 하고 그래프를 붙여 나의 생각을 정리 하자.
지역간 비교평가 프로세스
지역 간의 비교를 위해서는 각 도시별 체급(위상)을 아는 것이 첫번째 이다.
도시의 체급과 위상은 곧 ㅇㄱ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이 있다.
ㅇㄱ 숫자를 그자체로 이해하기 보다는 체감하는게 중요하다.
지방의 위상을 결정하는 요소
1.도시의 체급(ㅇㄴㅅ)
2.경제력(양질의 일자리=소득)
3.+@압도적으로 선호되는 생활권(학군,환경)
*엄마들이 좋아 하는 상권 (그게 곧 수요) 싫어하는 상권(유흥상권)
개별단지의 선호도를 잘 파악
가치파악: 도시의 레벨&도시 내 단지 선호도를 파악하고
가격확인:최종적으로 각 단지의 가치와 가격으로 비교평가
비교평가(가치&가격)
투자금=수익률
투자금 대비 충분한 수익률 가능한가?
저평가 1등이 투자 1등은 아닐 수 있다.
지방에서는 공급이 과다하면 전ㄴ세가가 상승하는 시기가 늦춰지고 신규택지 형성으로 이전의 생활권 위상을 잃어버릴 수 있다.
목표매도가&매도시기가 늦게 올 수 있다
현장에서 임장을 해야지만 알수 있는 것들이 있다 = 그래프가 모두 알려주지는 않는다
손품(사전이보)발품(임장)의 중요성
댓글
율랑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