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7 실적
✅ 7/17 목실감 + 시간 가계부 작성
✅ 경제신문 보기
✅임장보고서 시세분석 마무리 및 제출 (아직 완료 못함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50p
7/18 목표
🎯 3강 강의 시작
🎯 경제신문 보기
🎯 데일 카네기 인간관계론 50p
🎯 7/18 목실감 + 시간 가계부 작성
7/17 감사일기
🙏 엑셀이 안 되어서 시세정리 장표를 사용하진 못했지만 차선으로 PPT에 직접 따보며 시세 정리 마무리해서 감사합니다.
🙏 최근 독서를 못했었는데 어제부로 다시 읽기 시작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 오늘의 경제신문
- 집값이 상승됐더니 서울 아파트 매물이 한 달 새 4000건 가량 줄어들 정도로 매수세 강화
- 동작구의 경우 한 달 전보다 12.5%가 줄어듬
- 성북구의 경우 9.8% (300여건 감소)
- 과거 흐름으로 볼 때 가격 상승 전 힘을 응축하는 단계로 볼 수 있음 (부동산 시장 : 정상 매물 소진 → 매물 감소 → 가격 상승)
- 분양가가 높아지고,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수요자가 많아지면서 아파트 입주율이 크게 떨어짐
- 서울 아파트도 9억 이상인 아파트가 많아 신생아 특례대출의 정책 대출 가능 한도를 넘어서며 잔금 대출 어려움
-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며 신축 아파트가 몰려있는 동네는 집을 구경하는 것조차 어려워짐
- 거래량 중 24.9%가 10년차 이하 아파트
- 공급 절벽에 대한 시장 우려가 커지며 신축 선호 현상이 짙어짐
- 강남권 15년 이하 아파트는 매매 가격이 이미 전고점을 돌파
-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현실화되며 입지가 양호한 수도권의 주요 지역 청약 시장이 과열
- 서울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105.8 대 1 (전국 경쟁률 6.2 대 1에 배해 17배)
-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로 평가되는 인허가와 착공 실적이 줄면서 입주 물량 감소가 불가피
- 한국 부동산원의 경우 전세값이 1년 째 상승 중이나 실거래가 기준으론 5월 둘째 주 6.77% 하락했다가 3주 연속 상승 중
- 부동산원 통계는 표본조사이고 호가가 반영되어 실거래가와 차이
- 실거래가는 신고 기반이라 30일의 시차가 있는 만큼 동향을 보고 싶다면 부동산원 자료가 좋음
- 가격의 저점과 고점 등을 파악하기엔 실거래가 자료가 좋음
- 빌라 신축 3년 내 못팔면 취득세 중과세가 발생하는데 전세 사기로 빌라 기피가 심해지며 공급 업체 분통
- 주택신축판매업자가 주택건설사업을 위해 취득한 주택은 취득세 중과(최대 12%)가 예외이지만 3년이 지날 때까지 팔아야 하며, 못 팔면 중과세 적용
- 내년부터 신생아 특례대출을 받기 위한 소득 조건을 부부 합산 2억 5000만원 이하로 완화하며 최고 금리도 상향될 전망 (현재는 소득과 만기 따라 1.6% ~ 3.3%)
- 3.3% 이상이 되면 일부 저렴한 시중은행 주택 담보대출 금리보다도 높은 수준이 될 전망
- 한남 뉴타운 중 입지가 가장 좋은 곳으로 평가되는 한남 5구역 시공사가 DL이엔씨로 단독 입찰
- 공사비 상승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정비사업 수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은 탓
-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등 대형 건설사가 올해 하반기 인천 연수구 송도 국제도시에 신규 아파트를 잇달아 내놓음
- GTX-B(송도 ~ 여의도 / 용산 ~ 남양지) 노선 사업이 본 궤도에 올라 관심이 쏠림
- 9월 DSR 강화 / 서울 집값 상승세로 인해 주담대가 보름새 3.2조 증가
- 신용 대출은 줄었지만 주담대가 증가하며 가계 대출의 확대
🧮 7/17 시간가계부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