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맛도리입니다. 3주차 코크드림님의 강의 잘 들었습니다. 언제나 활발하고 밝은 에너지를 주셔서 감사해요!
수직적 비교평가 vs 수평적 비교평가
임장 지역을 선정 할 때 뿐 아니라 비교평가 자체를 할 때도 적용 될 수 있는 부분인 거 같다. 수평적 비교평가는 비슷한 조건의 임장지들을 두고 가격을 보는 것이다. 지방 같은 경우는 인구수가 비슷한 덩치의 도시들을 놓고 비교 해 보자. 어렵다면 일단 대장 단지들이라도 가벼운 마음으로 켜보자. 수직적 비교평가는 기준점을 위아래로 두고 보는 것. 비슷한 권역의 형님과 아우 임장지들을 두고 어디가 더 싼 지 보는 것이다. 수직적으로 할 때 투자가 많이 이어진다고 하니, 이번 임보 앞마당 간 비교평가에서는 꼭!! 입지차이에도 가격이 비슷하면 느낌이 더 잘 온다. 아 얘가 싸구나. 앞으로 어디를 갈 지 강의를 들으면 가닥을 잡아서 감사한 시간이었다.
2. 역세권을 능가하는 요소
서울에서 역세권 강남 1시간 이내의 단지와, 비역세권 경사에 대단지인 곳을 예로 들어주셨는데, 역이 더 먼 단지가 가격이 잘 가는 것이 신기했다. 주변에 아파트들이 모여있는 거 자체가 서울에서는 희소성이 있으며 주변 상가, 단지 자체의 느낌이 중요하다고 한다. 무조건 역세권! 을 외치기 보다는 이런 “환경”이라는 요소를 봐야하는 구나.
3.지방 광역시의 위상
부산에 해운대 같은 곳은 지방이지만 땅의 가치가 커서, 해운대 안에 있는 생활권 땅의 가치에 따라서, 구축이라도 가격이 더 잘 가는 모습이었다. 외진 곳의 신축 보다는 압도적인 입지의 가치가 있는 구축이 지방 광역시에서 통할 수도 있구나. 하지만 중소도시에는 입지 좋은 구축은 오히려 후순위.
4.마무리 하며…
특히 인테리어에서 아주 디테일한 시공 과정 등등을 알려주셔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많이 되는 강의였다. 마지막에 말씀하실 때, 비효율의 구간이 2~3년 정도라고 하셨다. 비효율의 구간 뒤에도, 나는 결과가 별로이면 어떡하지? 실력이 늘지 않으면 어떡하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모르기에 불안함이 늘 있는 거 같다. 무리해서 투자하거나 비교하지 않으며, 결과가 나올 때 까지 한다. 지금 투자활동 하고 있는 나는 어제보다 조금 더 배웠다!
댓글
맛도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