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신도시투자반 1기 107 첫사랑은수지조 그레잇쏭] 3주차 강의 후기 제출

  • 24.07.24

아직 임장을 진행하지 않은 지역이지만, 곧 임장을 할 지역을 미리보기 한다고 생각하고 강의를 들었다.

 

각 지역의 개괄적인 설명과 생활권 및 가격대까지 파악할 수 있었고, 앞으로 임장을 하게 되면 다시 들여다보면서 제주바다님의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레버리지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강의에서 들으면서 앞으로 두고두고 기억할만한 몇가지 사항들을 정리해보겠다.

 

  1. 서울이나 근접 수도권에는 언덕 지역이 많다. 하지만 성동구나 마포에도 언덕에 있는 단지들이 매우 가치가 높으며, 입지가 좋다면 교통도 잘 구축되어 있다. 그러므로 투자 대상에서 제외해서는 안된다. 모두 포함해서 봐야한다.
  2. 서울은 전세 상승이 매매상승으로 필연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지방은 연결되는 경우가 많지만. 현재 공급이 줄어들면서 전세가가 오르지만 꼭 매매가가 오르는 것은 아니므로 조급하게 생각해서는 안된다.
  3. 신축을 우선순위로 보는 것은 맞지만 신축도 비싸다면 투자하지 않는다. 입지가 좋고 오히려 아직 오르지 않은 구축을 보는 것이 좋다.
  4. 매물을 볼 때, 내가 투자하기 전에 보고 있던 물건이 날아간다면 차선책으로 보기 위해서 다른 평형들의 물건들 시세도 같이 알아놓는다.
  5. 그래프로만 가치 비교하려고 하면 어렵다. 임장을 가고 가치 파악을 한 후에 그래프를 붙여봐야 정확한 비교가 가능한 것이다.
  6. 서울 비슷한 급지와 경기도의 교통 입지가 비슷하고 투자금이 비슷하다면 경기도 신축을 투자하는 것이 낫다.
  7. 시세를 트래킹하면서 앞마당 중에서 범위 안에 들어오는 단지들이 있으면 모두 전수조사를 한다. 전고점을 비교하고 추가 임장을 통해서 물건을 찾고 찾는다면 매물털기 진행 → 그래야 투자를 한다.
  8. A 단지를 투자하지 못하고 타이밍을 놓친다면 대안을 만들어서 그 다음 물건으로 빠르게 넘어가야 한다.
  9. 지하철 호재의 직접적인 역세권이 아니더라도 버스 타고 접근해서 강남 시간이 개선된다면 충분히 투자할만하다.
  10. 호재는 호재일 뿐. 그것의 영향은 누구도 미리 알 수 없다. 그것을 빼고라도 좋은 가치인지를 파악하고 싼지 파악해야 한다.
  11. 나의 선입견으로 인해서 일부 단지들을 제외시키면 안된다. 일단 다 조사를 해야지 비교를 하고 투자를 할 수가 있다.

댓글


그레잇쏭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