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아침에]돈버는 독서 모임 /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후기

  • 24.07.31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저자 및 출판사 : 로버트기요사키 민음인

읽은 날짜 :  2024.08.06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두려움 #월하는 게 있다면 먼저 나눠주기 #자기사업(자산취득)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9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하와이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에게는 두 아버지가 있었다. 교육은 많이 받았지만 가난했던 친아버지와, 정규 교육은 제대로 받지 못했으나 부자가 된 친구 아버지의 가르침을 동시에 받으면서 그는 결국 부자 아버지의 가르침 속에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게 된다.

 

  저자가 유년 시절 겪은 두 아버지를 통해 가난한 사람과 부자의 사고방식을 비교한다. 직설적인 화법과 몰입도 있는 스토리텔링으로 경제에 대한 기초 상식은 물론, 자산과 부채의 개념과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금융 IQ를 기르는 비법 등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명쾌하게 전한다.

 

 

2. 내용 및 줄거리

 

p.25 

그런 거 살 돈 없다 그런 말을 입에 담지 못하게 했다. 대신 이렇게 자문하도록 시켰다. 내가 어떻게 하면 그런걸 살 수 있을까? 하나는 단언이었고, 다른 하나는 고민이었다.  내가 어떻게 하면 그런 걸 살 수 있을까라고 질문하면 우리의 사고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p.85

대부분의 사람들은 너무 겁에 질려서  이성적으로 꼼꼼하게 사고를 하지 못한다. 그래서 아무리 지겨워도 직장에 일을 하러 가는 거야. 점점 더 깊이 진퇴양난의 수렁에 빠져드는 거다. 

 

p.143

다음 목표는 자산에서 비롯되는 초과 현금을 자산 부문에 재투자 하는 것이다. 자산 부문에 더 많은 돈이 투입될 수록 자산은 더욱 증가한다. 그리고 자산이 증가할수록 현금흐름도 증가한다. 자산에서 비롯되는 현금흐름보다 지출을 적게 유지하는 한, 나는 임금 외의 다른 수입원을 통해 더욱 부자가 될 수 있다.

 

p.170

자기 사업을 하라는 것은 자산 부문을 튼튼하게 다지라는 의미다. 일단 자산 부문에 돈을 투입하고 나면, 절대로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해라. 이런 식으로 생각해 보라. 당신의 자산 부문에 투입된 돈은 당신의 직원이다. 돈의 가장 훌륭한 점은 24시간 내내 조금도 쉴새 없이 평생 동안 일을 한다는 점이다.

 

p.240

대부분의 사람들이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이 지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실패란 성공과정을 구성하는 일부다. 실패를 피해가는 사람들은 결국 성공 또한 피해 가게 될 것이다. 열심히 플레이하고, 실수를 저지르고 고치고 다시 실수를 저지르고, 고치고 그러면서 점점 더 개선되는 것이다.

 

p.269

인생은 체육관에 가는 것과 비슷하다. 가장 힘든 부분은 바로 체육관에 가야겠다고 결심을 하는 것이다. 일단 그 부분을 지나고 나면 나머지는 쉽다. 나만 해도 체육관에 가기 싫어 자주 미적 거리지만, 일단 가서 운동을 하기 시작하면 즐거움을 느낀다. 

 

p.288

돈을 잃는다는 두려움은 현실적이다. 모두가 그런 두려움을 갖고 있다. 심지어 부자들도 그렇다. 그러나 두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두려움을 다루는 방식이다. 잃는다는 것을 어떻게 다루느냐다. 실패를 다루는 방식이 인생의 차이를 만든다. 부자와 가난한 자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그런 두려움을 다루는 방식에 있다. 

 

p.289

이기는 것이란 대개 지는 것 뒤에 오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나는 자전거 타는 법을 익히기 전까지 수없이 넘어져야 했다. 한번도 돈을 잃지 않고 부자가 된 사람을 만난 적이 없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금전적으로 이기지 못하는 이유는 돈을 잃어서 느끼는 고통이 부자가 되어 얻는 즐거움보다 훨씬 크기 때문이다.

 

p.295 

부자가 되고 싶다면 반드시 집중해야 한다. 가난한 이들이나 중산층이 하는 것처럼 몇 개 안되는 달걀을 여러 바구니에 나눠 담지 마라. 여러개의 달걀을 몇 안되는 바구니에 집어넣고 집중하라. 성공할 때 까지 오직 한길만을 따르라

 

p.340

현명한 투자가들은 인기 없는 투자 상품을 산다. 그들은 팔 때가 아니라 살 때 이익을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들은 참을성 있게 기다린다. 다음에 밀려올 커다란 파도를 기다리면서 포지션을 잡을 뿐이다. 

 

p.364

만일 내가 당신에게 오직 한 가지 생각만을 가르쳐 줄 수 있다면 나는 이걸 가르치겠다. 무언가가 필요하거나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먼저 당신이 원하는 것을 주라. 그러면 되로 줘도 말로 돌아올 것이다.  이는 돈과 미소 사랑, 그리고 우정에 있어서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p.366

다른 사람에게 줘도 아무것도 돌아오지 않는 때도 있고, 혹은 내가 받은 것이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닐때도 있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다 면밀히 들여다본다면 그럴 때 나는 받기 위해 주고 있었을 뿐 주는 즐거움을 얻기 위해 준 것은 아니었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가정 / 어떻게 하면 그런 걸 할 수 있을까?

아이들이 원하는 것이나, 하고 싶은 것들을 얘기할 때마다, 그럴 여유가 없다거나 그게 왜 필요한 지 물어보면서 아이가 스스로 포기하도록 유도했었다. 어른인 내가 보기에 아이가 세상을 몰라서 그렇게 생각했다고 판단해, 부모인 내가 지도를 해줘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책을 읽으면서, 내가 해왔던 가정교육방법이 문제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이들의 생각을 함께 발전시키면서 창의성과 독립성 까지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하면 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첫번째로 내가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을 인식하게 해주어 메타인지에 도움을 준다. 두번째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탐색하고, 생각하고 도전하면서 생각도 깊어지고, 다양한 경험도 해보면서 성장할 수 있다. 작은 목표라도 스스로 문제해결 방법을 찾아 도전하고, 성취하는 성공경험을 통해 아이는 독립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다.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도전해볼 수 있도록 격려해 주는 데 이것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을 것 같다.  

 

  • 직장 / 사람들은 너무 겁에 질려서  아무리 지겨워도 직장에 일을 하러 가는 거야. 

 

직장을 가는 게 너무 당연해서 이유를 생각해 본 적이 없다. 회사에서 일을 해야 돈을 벌고, 그 돈으로 생활을 하는 거 말고 다른 방법을 알지 못햇다. 일을 하지 않으면 모아놓은 돈이 줄어들고, 노숙자 나 거지가 되고 싶지 않아서 일을 하러 나갔다. 

 

월부를 하면서, 근로 외 다른 방법이 있고, 현실적으로 내가 도달 가능하다는 것들을 체험하면서, 출근을 해야한다는 공포에서 조금은 자유로워 진 것 같다. 지금도 투자금과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 일을 하러 가지만, 투자를 지속해 나간다면 생활비를 위해 돈을 벌지 않아도 될 시기가 올 거라는 확신을 갖고 있다. 

 

그때가 되면, 일이 좋아서, 하고 싶어서 출근할 수 있지 않을까?

앞으로 10년 정도나 남아서, 경제적 자유는 달성은 가능해 보이고, 일이 즐거워서 하러 가는 시기는 반드시 올 것이다.  

 

 

  • 투자 / 무언가가 필요하거나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먼저 당신이 원하는 것을 줘라.

     

나누는 사람이 성장한다. 나눔과 성장이 다른 게 아니다라는 얘기는 사실 월부에 오기전에는 들어 본 적도 없다. 나눈다는 생각도 해본적이 없다. 내 일을 하면 되지, 다른 사람을 도와준다는 생각은 없었다.

 

월부에서 조장을 8번 하면서, 처음에는 조장이 멋있어 보여서 했다면, 나중에는 동료들을 챙기고, 주도적으로 일정을 진행하는 게 조원으로 지내는 것 보다 내게 맞는 거 같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조장 튜터링을 받으면서, 조장의 역할, 나눔과 성장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게 되었다. 

 

동료를 챙기는 건 내 시간을 희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챙기는 게 즐겁고, 동료들의 질문을 해결해 주기 위해 자료를 찾고, 여기저기 물어보고, 답변을 정리하면서 성장할 수 있다는 걸 경험으로 알게 되었다.

 

지금 내게 필요한 건 열정과 몰입인데, 열정과 몰입을 어떻게 먼저 줄 수 있을까?

동료들 톡방에서 마치 조장이 된 것 처럼 행동해 볼까? 최근 3번의 실전 & 지투 과정을 수료했으니, 환경은 갖춰진 것 같고, 8월 한달 동료들에게 열정과 몰입을 주면서, 나의 열정과 몰입을 찾는 경험을 해보고 싶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p.170 : 자기 사업을 하라는 것은 자산 부문을 튼튼하게 다지라는 의미다. 일단 자산 부문에 돈을 투입하고 나면, 절대로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해라. 이런 식으로 생각해 보라. 당신의 자산 부문에 투입된 돈은 당신의 직원이다. 돈의 가장 훌륭한 점은 24시간 내내 조금도 쉴새 없이 평생 동안 일을 한다는 점이다.

CEO 마인드

최근 전세를 빼는 과정에서, 확실히 배운게 있다면, 소유자인 내가 움직이지 않으면 부동산 사장님, 세입자, 집수리 하시는 분 어느 누구도 대신해 주지 않는 다는 점 이었다. 다행히 열심히 도와주시는 부사님들이셔서 수월하게 전세를 빼기는 했지만, 직접 찾아가고, 매주 매일 정기적으로 전화해서 여쭤보고, 부탁드리는 과정이 수반되지 않았다면 전세빼는 과정이 더 힘들었을수도 있었겠다라는 생각도 들었다.

 아무리 비용을 주고 일을 부탁하더라도 내가 관심을 갖느냐 아니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CEO마인드가 필요한 부분이다. 월급쟁이로만 지내다 보면, 작게 보고, 소극적으로 행동하기 쉬운데, 적어도 투자하고 자산을 관리하는 측면에서는 CEO라고 생각할 필요가 있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85 : 대부분의 사람들은 너무 겁에 질려서  이성적으로 꼼꼼하게 사고를 하지 못한다. 그래서 아무리 지겨워도 직장에 일을 하러 가는 거야. 점점 더 깊이 진퇴양난의 수렁에 빠져드는 거다. 

 

출근하기 싫어도 출근을 해야 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었는데, 그 당연함이 이성적 사고를 막는 다는 저자의 의견은 정말 신선하다. 

가난한 아빠는 공부를 통해 전문직이 되거나, 좋은 직장을 얻기를 원했다. 내 생각도 같다. 의사 같은 전문직의 고수입이 보장되면 돈 걱정은 안하고 살 것 같다. 안정적이고 보수를 많이 주는 직장에 입사하는 것도 좋다. 여기서 본질은 돈을 많이 버는 거다. 예를 들어 10억을 목표로 정하면, 의사 또는 전문직이 10억을 빨리 모을 것 같다. 

 

그러나 로버트 기요사키의 생각은 다르다. 의사나 전문직의 수입을 모아서, 10억을 만들기 보다. 가치있는 자산을 모아 그 자산으로 10억을 만드는 게 이성적 접근 방식이라고 말하고 있다.

 

전문직이 아닌 사람들이 급여만으로 10억 달성이 가능할까?

1년에 5천만원을 저축해도 20년이 걸리고, 현실에서는 5천만원이나 저금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저축으로 10억은 만들 수 없다고 생각한다. 

 

자산에 투자하면 어떨까

운좋게 투자한 아파트에서 수익이 났고, 저축한 돈을 더해보니, 20년 이상 걸릴 것 같은 10억이 멀지 않았다.

만약 내가 투자를 하지 않았다면, 어땠을까?

지난 20년 상승장에서 자고나면 몇억이 올랐고, 최근 수도권의 심상치 않은 분위기 속에 4급지도 1억 이상 올라가는 걸 보면서, 저축으로 1억을 만들기는 힘들지만, 자산으로 1억 만드는 건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걸 경험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저자도 직장의 근로소득의 한계를 알고, 하루라도 빨리 투자(자산형성)를 시작하라고 말하는 것 같다.

 

돈이 없어서, 시간이 없어서…

얼마전 만난 동료가 업무로 바쁘다는 소식을 들으면서, 힘들겠다고 위로했지만, 한편으로는 회사일이 바쁘다고 투자를 안할껀가? 라고 자문해 보았다. 출근을 안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월급쟁이 투자자라는 마인드와 태도는 잊으면 안된다. 잊으면 두려움과 걱정으로 매일 출근해서 새앙쥐레이스를 하는 대다수의 사람들 중 하나가 되는 거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보도새퍼의 돈

 

7. 조편성 구글폼 제출하기

https://forms.gle/wMkoCRobA6LZsf5E8


댓글


아침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