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부자인요정입니다.
‘소액으로도 접근할 수 있는 신도시 투자!’
문장만으로도 설레이는 주우이님의 4주차 강의!
깨달은 점과 적용할 점 위주로 후기 작성 스따뜨~
깨달은 점
1. 현재 시장에서 소액투자를 하기 위해 해야 할 행동
-앞마당 늘리기: 1,2기 신도시, 서울 접근성 좋은 수도권 지역 앞마당 꾸준히 만들기
-투자 가능 단지 리스트업: 매매가 5~6억 정도의 아파트 중 저평가 되어 있는 아파트 리스트업
-전세 및 매매 동향 파악하기: 해당 단지들의 매매 매물수와 전세 매물수를 지속적으로 확인
-주기적 확인: 2~4주 간격으로 아파트 매매 가격 및 전세 가격 업데이트
중요한 것은 전세의 가격 흐름!! 매매,전세 둘 다 없는 것 > 전세 없는 것 > 매매 없는 것 > 매매,전세 둘 다 많은 것
2. 부천(중동)과 군포(산본) 입지분석
좋은 입지 + 가성비
부천(중동): 중동 신도시+ 환경+ 베드타운
7호선을 중심으로 선호도가 결정되며, 3년 내 매물이 없다.(전세 15개)
*1등~4등으로 나눈 생활권을 기준으로 의사결정 가능*
군포(산본): 산본 신도시+ 환경 + 베드타운 + 교통(강남접근성)
산본역을 중심으로 선호도가 결정되며, 군포 자체의 공급은 적으나 주변 안양,의왕 공급이 많다.
*1등~5등으로 나눈 생활권을 기준으로 의사결정 가능*
3. 무조건 1순위 생활권부터 보기
이번 강의에서 가장 확실하게 잡고 가는 개념인 것 같다.
‘사람들의 선호가 높은 곳은 가격도 높고 구축이니까 외곽 저기에.. 적은 투자금으로.. 연식도 괜찮고.. 비슷한 투자금이면 오히려 저기도 괜찮을 것 같은데..’ 하고 눈이 스윽 돌아갔다. 물론 더 자세히 분석을 해야겠지만 주우이님이 강의에서 명쾌하게 말씀 해주신 것이 좋았다.
내가 투자를 한다면 무조건 1순위부터 보기!
1순위가 없어? 2순위로! 2순위도 없어? 3순위로!
적용할 점
1. 임보 인구비율 파트에 강남과 비교해서 보기
가장 좋은 지역인 강남과 비교했을 때 비슷한 인구 비율을 가진다면 좋다고 볼 수 있다.
다음 임보에 적용하기.
2. 비교평가 시 전세 시세 및 전세가 최고레벨까지 확인하기
오.. 비교평가 할 때 매매 전고점 확인하고 가격이 어떻게 올라 오는지 매매시세 그래프를 확인하는 것은 익숙했는데 전세시세를 통해 사람들의 수요를 확인하는 더블체크!! 너무 좋았다. 여기에 더불어 전세가 최고 레벨이 얼마까지 올랐는지! 한 번 더 체크!
>현재 매매가가 비슷한 상황이라면 사람들이 더 선호하는 전세가 최고레벨이 높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
3. 2~4주 간격으로 시세트래킹
이전까지는 그냥 계속 앞마당 만들고 나중에 하반기에 한 번에 전수조사해야지~ 했었다면
이번 강의 끝나고 바로 매매 절대가 정한 후 시세트래킹 꼭 하자.
4. 그만 멈출까 라는 생각이 들 때 한 걸음만 더 내밀어 보자.
아 역시 7월은 7월인지 땀 흘리며 임장 다녀오고 나니 임보 쓸 시간도 없이 강의가 휘몰아치고 매일 열심히 하는 것 같은데 임보는 밀리고 흠.. 8월에도 앞마당 하나 만들 수 있을까? 이것도 지금 마무리를 못했는데? 라고 생각 했다. (네.. 강의 들으면서 찔렸어용ㅎㅎ)
할 수 있을까? 의문도 부정이다. 느낌표로 끝내자.
8월에도 앞마당 만든다. 평촌 임보 마무리 짓자.
*2027년 미래 일기*
“나는 수도권에 아파트 2채 투자한다”
댓글
부자인요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