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보기 강의부터 이미 순살로 만들어주셔서😇 앞으로 3주간의 여정에 엄청난 동기부여를 시켜주셨습니다.
구해줘월부처럼 너나위님이 직접 진행하시는 거라니!
조금 늦었지만 두번 꽉 채워서 듣고 필사했습니다! :)
[투자 vs 실거주 - 방향 설정]
[본 것]
- 방향은 스스로 정하는 것, 단 강의와 코칭은 그 방향을 현명하게 잡아주는 길잡이 역할.
- 그리고 어떤 길을 선택하든 틀린 길은 없고, 장단이 있다는 점. (될놈될😂)
- 중요한 것은 내가 선택한 방향에서 그에 맞는 성과를 얻는 것. 더 바라는 만큼 더 노력하고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것. (메타인지!)
(기대값이 크다면 그에 맞는 선택으로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을 들여야 함.)
- 만약 내집마련을 하는 방향이라면, 지금 시기는 가격의 리스크가 현저히 줄어 들었기에 현실적으로 접근가능한 곳이 있다는 점.
[깨달은 것]
- 모든 선택과 결과는 나에게 달려 있다. 내가 어떤 선택을 하든 그에 맞는 자세가 필요하다.
나는 과연 인생을 걸고 내가 누리던 것 까지 버려가면서 꾸준히 노력하고 실천할 자세가 되었는가?
- 나 또한 기대값에 맞지 않는, 현실감각 없는 생각으로 자기위안과 부정을 해왔지 않나?
- 내가 바라는 미래와 노후는 어떤 모습인지, 그 것을 위해 얼마가 필요하고 부족한 부분은 어떻게 채울지, 진지하게 실천하고 구체화 해보았나?
[적용할 것]
- 한번 마음먹은 생각은 그 날 행동으로 옮기기 >> 내마반 수강기간 동안 목표와 실천, 복기와 개선 고민하고 습관화, 구체화하기.
- 메타인지 >> Not A But B로 깨달았던 순간들 메모하기 - But B 대로 실천하기.
- 어설프게 만든 비전보드 재 점검하기. - 올해 중으로 열기반 반드시 수강할 것!!
[현실적인 노후준비]
[본 것]
- 50대에도 (쉽지는 않겠지만..) 마음만 먹으면 노후준비 할 수 있다. 심지어 소극적으로 또는 적극적으로 2가지 선택사항이 있다.
다만 은퇴시기가 30대, 40대에 비해 얼마 남지 않은만큼, 절대 투자손실이 있어서는 안된다.
- 자산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시기에 좋은 자산을 괜찮은 가격에 사는 것 만큼 노후준비에 큰 영향이 있는 것이 잘 없다.
약 10년 정도의 시계열로 보면 자산가격에 있어서 큰 사이클 1주기가 형성되는 시간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우상향이 가능한 자산을 좋은 가격에 매입할 수 있다면, 아무리 자산가격이 떨어져도 직전 상승장 사이클의 최저점이 되기는 어렵다.
- 극단적인 예로 지금 좋은 물건을 6-7억에 사서 약 10년 후 다음 상승장에 12억에 매도할 수 있다면, 그 때 쯤에는 은퇴시기가 된다.
시세차익으로 은퇴자금을 확보한 후, 실거주하는 집을 줄이거나 외곽으로 실거주를 옮겨서 노후준비 할 수 있다.
- 내가 종잣돈이 없고 서울투자를 계획한다면, 현 시점에서 대출 포함 최소 5억짜리 집 매수를 목표로 종잣돈 2억이 필요하다.
정말 현실이 깜깜하더라도, 포기하거나 현실 부정하지 말고 어떻게 하면 목표 기간에 필요 종잣돈을 모을지부터 생각해라.
- 정말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지, 현실적으로 나는 무엇을 해야할지 눈에 불을켜고 달려들어야 한다.
[깨달은 것]
- 노후준비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 하지만 나 조차 그걸 머릿속으로는 알면서도, 지금도.. '나중에 어떻게 되겠지.' 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가끔 한다.
- 객관적으로 내가 은퇴할 시기엔 지금보다 양극화도 훨씬 심해지고 진정한 각자 도생의 시대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국민연금은 진작에 고갈되어서 한푼도 안나올 수 있고, 노인(나)을 부양할 수 있는 생산가능 인구는 점점 바닥을 찍는다고 하니..
내가 60대가 되어서도 아무리 일할 힘과 의지가 있다한들, 어쩌면 주울 폐지도 없겠다는 생각이다. 정신차리자..
- 나는 아직 젊은 나이이니, '현금흐름형, 시세차익형 노후준비 모두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뭘까.' 를 생각해야겠다.
[적용할 것]
- 연금저축, 퇴직연금 DC 포트폴리오 10월 중 재 점검 및 리밸런싱 계획
>> 장기적 현금흐름 관점의 K-SCHD 3형제 ETF, 조정장에서의 S&P500TR ETF 매수계획
>> 역발상 적용 - 남들이 두려움을 느낄 때 나는 좋은 자산의 포지션을 키운다.
- 투자 관련 의사결정 고려 시 함부로 단기적 움직임을 맞추려 하거나 예단하지 말고 장기적 관점에서 나에게 유리한 포지션 생각
- 순리자의 사고방식이 아닌, 역행자의 사고방식으로 생각. '어떻게 하면 저 목표를 이룰 수 있을까?'
- 가격의 향방을 예측하려 들지 말고, 현재 시점에서 시장의 가격표가 어느정도 수준인지를 이해하는 것에 노력 기울이기
>> 가격의 수준을 이해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현재의 가격이 매력적이라는 판단이 드는지를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예측하는 것 보다 더 중요함.
[너나위님이 수강생들에게 드리는 편지]
[본 것]
- 직장생활에서도 분명 성취의 기쁨과 보람이 있지만, 진정 내 삶에 의미있게 남는 것이 무엇일지는 의심이 들 수 있다.
- 성공한 사람들의 공통점은 기회가 왔을 때 기회인 것을 알아차리는 것이고, 지금은 '내집마련' 관점에서 기회이다.
- '내집마련'이 대부분 사람들의 지상 최대목표인 것을 생각한다면, 지금은 어쩌면 인생목표를 이룰 수 있는 인생의 전환점에 와 있다는 것이다.
- 이 기회를 놓쳤다고 해서 포기하거나 우울해 할 필요 없고, 지금 기회를 잡을 수 있다는 것을 안다면 반드시 후회하지 않을 선택을 해야 한다.
[깨달은 것]
- 아파트처럼 사용가치와 소유가치를 모두 지닌 자산을 매수하기 좋은 시기는 높은 확률로 가격이 하락하는 시기이다.
- 당장 지금 내가 불가능한 어떤 것이라고 해서 포기하거나 관심을 놓지 말자.
[적용할 것]
- 지금 나에게 내집마련 관점에서 최선의 선택은 무엇인지, 내가 이미 선택한 것에 후회없이 책임질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하기.
- 투자공부가 비록 완벽하지 않을지언정 포기하거나 접지 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