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전체적으로 한 지역을 바탕으로 생활권 분석과 입지 분석, 단지 비교 예시 까지 강의에 포함되어 있어서

제가 해왔던 방식과 비교를 해보며 잘하고 있었는지 확인해 볼 수 있었고, 제주바다님의 생각까지 얻어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1. 입지 분석 시, 제가 현재 작성하고 있는 임보에서 놓친 부분을 캐치하고 보강할 수 있었습니다.

2. 공급 관련해서 기존에 ‘3년 공급이 평균 정도? 괜찮겠지?’, ‘3년 공급 부족이네? 오케이’ 라고 단순하게 생각하고 넘겼었는데, 그 것이 아니라 변곡점을 주는 공급량을 확인해야 된다는 점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3. 신규 공급에 대해서, 아무 생각 없이 있을 것이 아니라, 해당 공급이 소화되는 속도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른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음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4. 제주바다님의 사례에서 저와 같은 점을 발견 했습니다 생활권에 대한 편견이 좀 있었던 것 같아요. (이 지역에서는 여기가 중심이니까, 여기 생활권 까지는 괜찮을 것 같아. 근데, 여길 넘어간다고? 신축이 와도 여긴 아닌 것 같은데?)

사실… 이 부분은 단지 임장 하다 보면 기본으로 50개가 넘어가니까 너무 힘들어서, 위와 같은 핑계를 대며 가지 않았던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한 두개 정도라도, 비선호 생활권의 주요 단지라도 보고 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댓글


멋숭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