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단독세대주 입니다.
2강은 B 지역을 도시 형성시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각 권역 내 생활권 특징 정리,
입지 요소별 정성적인 평가와 분석,
6개월 전과 현재 시장의 호가를 놓고
저평가 및 투자적정성 판단까지 해주셨습니다.
1강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지역을 분석해주시지만,
다른 지방 도시에서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전해주시려
애쓰시는게 너무나 잘 전해졌습니다!!
사실 광역시든 중소도시든 임장지역이
대체로 하나의 구 단위이다 보니,
인근 지역구까지 크게 보며 비교하고
디테일한 핵심 가치와 전체 선호 파악까지는
현실적으로 어려운데요.
이렇게 강의에서 지역 한판 정리를 들으면,
지역의 큰 밑그림이 대충 그릴 수도 있고,
차후 앞마당을 만드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또한 줄일 수도 있어 너무 도움이 됩니다.
기존에 앞마당이었던 지역 분석일 땐
내가 이전에 놓친게 없는지,
내가 제대로 봤는지를 점검할 수 있어서
진짜 어느 쪽이든 대혜자 강의 🫶
강의해주신 B지역은 1개구만 제 앞마당이고
가격이 이미 올라서 사실 마음이 시들해져 있었는데..
그 안에서 아직까지 싼 게 있다는
튜터님 말씀에 제대로 안봤구나 싶어
뜨끔하고 찔렸네요.. ㅎ
심기일전해 꼼꼼히 더 봐야겠습니다.
그리고 지방 (준)구축/ 20평대 투자에 대한 궁금증,
특히 B지역 20평대를 호시탐탐 눈독 들이던 저에게
해결되지 않은 물음표가 있었는데 ㅎㅎ
아주 클리어하고 단비와 같은 가이드를 내려주셨습니다 ><
저와 같은 의문을 가지신 분들이 많으셨나봐요 ㅎㅎㅎㅎㅎ
이번 강의에서 아주 그냥 클리어하게 정리해 주셔서
너무 너무 속시원!!!!!!!!!!!!
정말 감사드립니다 !!
그 외 저에게 특히 와닿았던 부분 정리합니다.
[입지] 인구: 세대당 인구 + 좋은 연령별 인구 특징 AND 조건
생활권 내에 모든 연령층이 골고루 있는게 나름 안정적인 택지/주거지라고 느꼈는데 실제로 가성비 지역/ 살아야만 하는 지역인지, 정말로 선호하는 지역인지 좀 세심하게 구별해야 할 것 같습니다.
[시세] 투자는 가치를 잘 파악할 줄 알아야 하지만 가격 감을 잡는 것도 중요
가격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스스로 싼지 비싼지 판단하는 능력 키우기: 지역 가치/가격 비교, 반등여부
[투자판단/기준/전략]
1. 가치가 많이 좋은 단지는 가격이 일부 올랐더라도, 주변대비 많이 올랐는지 아닌지까지 판단 필요. 저평가이고 감당가능하다면 투자할 수 있음
2.가치가 있는 단지 중 매매 보합/ 전세 상승 투자금이 적게 든다면 소액 투자 기회
3.가치가 애매한 생활권의 좋은 연식의 단지는 더이상 가격이 싸지 않을 때 투자금이 적게 들어도 투자대상 X
4.해당 지역에서 투자금 00원까지 들이지 않기
5.입지 떨어지는 신축과 입지 좋은 준식축의 투자 우선순위를 비슷하게 보시는구나..
[시세트래킹] 투자 여부와 관계없이 공급이 끊기 이후 매매/전세가 추이 지속적으로 추적관찰
유래없이 공급이 끊긴 50만 규모의 중소도시의 가격 반등이 어느선까지 갈지 파악하기
아주 일목요연한 지역 분석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잡아주신 투자 우선순위 기준,
가치를 제대로 알아보는 사람만이 기회를 잡는다는
묵직한 조언말씀까지 다 녹여주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BM
B지역 전수조사
댓글
단독세대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