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2주차 수강 후기 [21기 47조 유미]

  • 24.08.18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역시 게리롱님! 매번 강의를 들을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강의 구조가 정말 잘 짜여 있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배운 점:

  • 지방 중소도시나 광역시에서 아무리 가격이 저렴해도, 입지가 좋지 않은 구축 아파트에는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해당 단지들은 대부분 저가치에 속하기 때문이다.

    지방의 저가치 단지는 전세가가 장기간 오르지 않기 때문에 매매가도 상승할 수 없다. 왜? 전세가가 올라야 매매가를 밀어 올려 시세 차익이 발생하는데, 저가치 단지는 전세가가 장기간 오르지 않기 때문에... 투자했으면, 결국, 이런 단지는 팔기도 어렵고, 손해를 볼 수 있는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사람들이 이런 단지들을 갖고 싶어 하지 않기 때문.)

  • 투자금 때문에 어쩔 수 없이 20평형대나 구축 아파트에 투자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반드시 기준을 지켜야 한다. 단순히 투자금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작정 지방에서 20평형대나 구축 아파트에 투자해서는 안 된다.

    20평형대에 투자하려면 먼저 30평형대를 검토하는 것이 필수! 만약 같은 투자금으로 1등 입지에서 준신축 이상이거나, 연식과 브랜드 등에서 상품성이 우수한 신축 20평형대가 있다면, 그 물건에 투자해도 OK!

BM:

  • 입지 분석: 입지를 분석할 때, 단순히 S, A, B 등급 평가로 끝내지 말고,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투자와 연결할 수 있을지 생각하고, 이를 임보에 포함시키기.
  •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 분석: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를 확인할 때는 지금 당장 차이만 보는 것이 아니라, 좌우를 보고 (10년) 해당 단지가 우상향했는지, 우상향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그래야 갭이나 투자금 기준이 아닌, 단지의 가치를 기준으로 저평가 여부를 판단 가능)
  • 근본적인 원인 (why?)을 파악하는데 노력: 입지가 괜찮고 가치 있는 단지인데도 가격이 저렴하다면, 투자자답게 왜 그런지 이유를 확인하기. (단순히 "지방 부동산은 끝났다"는 생각보다는,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
  • 튜터님께서 다른 물건을 찾으라는 피드백을 주셨다면, 그 조언을 받아들이고, 투자하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고 생각하기. "내 돈을 지켰다"는 긍정적인 마음으로 감사히 받아들이고, 더 나은 물건을 찾기! :)

댓글


유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