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기초반_2주차_게리롱님_강의 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버는 황금루트

우선 임장 다녀오셨던 B 지역에 대해서 상세히 강의를 해주셔서

  • 입지 판단을 위해서 어떤 것들을 기준으로 보는지
  • 어떤 물건을 사도 되고, 어떤 물건을 사면 안되는지(저평가 vs 저가치)
  • B 지역의 입지와, 그에 따른 투자 대상이 되는 아파트는 어떤 물건인지

등등 잘 배울 수 있었습니다.

 

특히 지방에 해당 하는 B 지역은,

이 지역이 투자 대상이야? 라고 생각했었는데,

게리롱님 강의를 통해서 정말 당장 임장 가고 싶은 지역이 되어 버렸습니다.

 

[Bench Marking Point]

  1. 인구 : 젊은 인구가 어디 많이 사는지, 가구당 세대수가 많은 곳은 어디인지

    → 해당 지역의 거주 선호도가 높은 생활권

  2. 직장: 어떤 산업의 비중이 높고, 밀집된 일자리에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는지
  3. 학군: 중학교 학업성취도& 특목고 진학률& 재학수 300명 이상을 봐야 함. +학원가 몰려있는 곳

    - 해당지역이 학군의 위상이 좋으냐는 다른 도시랑 비교하기 보다 인근지역에서 학군지로 유입되는 지를 보면 됨

  4. 환경: 백화점, 대형마트, 대학병원, 스타벅스 등을 보지만 살고싶어할만한 환경은 어디인지
  5. 공급: 향후 3년 입주물량 확인 및 그 이후는 관리처분인가 이후 단계가 어느 수준인지로 본다.
  6. 교통: 직주근접, 호재(입지 개선)
  7. 투자 순위는 입지 상 신축> 입지 상 준신축=입지 하 신축 > 입지 하 준신축 > 입지 상 구축 
  8. 서울 수도권은 입지가 중요, 지방광역시는 연식과 입지를 함께 고려, 지방 중소도시는 신축을 우선적으로 고려
  9. 지방에서 20평대? 30평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되, 1등 입지에서 준신축 이상이거나 상품성이 우수한 최신축이면 O.K
  10. 투자금이 적게 드는 매물 : 입지가 안좋고 전세가가 오르지 않으면 저가치.

벤치마킹 

포인트도 많아서, 앞으로 지방 앞마당 가져갈때 적용해야 할 키포인트들-투자로 연결할 기준들을 많이 가져갔던 강의였습니다.


댓글


user-avatar
드림텔러user-level-chip
24. 08. 21. 22:45

강의 후기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 많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