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번 강의는 식빵파파님이었습니다.
지난 지투기를 들었을 때도 식빵파파님의 지역강의가 인상깊었습니다.
해당지역이 임장지가 아니었음에도 마치 임장을 다닌 듯 생생한(?) 지역설명이 좋았습니다.
이번엔 지금 임장지를 강의해주셔서 현재 임장지에서 헷갈리던 부분들이 풀렸습니다.
지방투자에서 공급의 중요성
이번주 조모임을 하면서 같은 조원과 함께 의견을 공유했던 것이 ‘공급이 많다’였습니다. 이런 공급이 있는데도, 이 지역에 투자가 가능한가?하는 의문이 있었는데, 그때 조장님은 이 지역은 공급이 적정한 수준이다. 하고 하셨습니다. 그 때는 당시에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식빵파파님강의를 들으면 이해가 갈 수 있을거라며 말씀해 주셨던 내용이 와닿았습니다.
계속해서 수요가 증가하는 도시
내가 생각하는 C지역과 식빵파파님이 생각하는 C지역이 어떻게 다를까" 또 같은 부분이 어떤 것일까 생각하며 들을 수 있었습니다. 1등생활권으로 헷갈렸던 부분들도 명쾌하게 말씀해주셔서 좋았습니다. (ㅎㅎㅎ조모임때도 의견이 갈렸던 부분이라..) 지금까지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해당 지역에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조사하면서 알고 있다고 한 부분들이 강의를 들으면서 내가 알고만 있지 확실하게 정리된 것은 아니구나, 알고 있고 조사한 내용, 임보에 작성한 내용을 한페이지에 정리하는 장표가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인구는 지역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관점이지 투자의사결정에 관여하는 부분은 아니라는 말씀으로 저를 말려(?)주셨습니다.
앞으로 좋아질 학군이 어디인가?
중소도시에서는 수도권과 광역시만큼 입지요소의 힘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신축택지가 생긴다면 그에 따라 학군도 새롭게 형성되기 때문에 쉽게 수요가 이동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단순히 중학교 학업성취도와 특목고진학률만을 볼 것이 아니라, 앞으로 좋아질 학군도 함께 봐야한다고 하셨던 부분에서 중소도시가 처음이라 현재 임장지에서 학군이 가지는 힘이 어느 정도인가를 기준잡기가 어려웠는데, 강의에서 함께 학군을 비교해주셨던 부분을 보고 알 수 있었습니다.
중소도시의 환경=신규택지
그냥 막연하게 중소도시, 지방에서는 무조건 신축이지~하던 생각에서 왜 신축이 그만큼 지방에서 힘이 있는지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규모있는 아파트의 대거 입주시, 중소도시에서는 자연스럽게 상권이 함께 형성되기 때문에 택지 그 자체가 환경이 될 수 밖에 없다는 말씀을 듣고 중소도시에서 신축택지가 가지는 힘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적용할 점(딱 한가지!)
이번 강의도 1,2강을 들을 때만큼이나 BM할 점들 투성이였던 것 같습니다.
식빵파파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댓글
뉴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