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3주차 수강 후기 [21기 47조 유미]

  • 24.08.25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식빵파파님의 강의를 처음 들었는데요, 와~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주셔서 강의 시작부터 끝까지 쭉 몰입하게 만들었습니다.

C지역의 구별 특징을 한 줄로 정리해 주셨던 부분이 정말 인상 깊었어요. 덕분에 지역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또, 줌아웃과 줌인 방식으로 지역과 가격을 분석하기! 그래야 주변 도시와 비교 시, 해당 지역의 위상, 가격 수준을 어느 정도인지? 지역 내 구별로 비교했을 때 어떤지~ 알 수가 있다.

데이터만 나열하고 끝나면 안된다!! 데이터는 어떻게 내 투자에 연결할 수 있는지? 예를 들어, C 지역의 주요 일자리를 파악한 후, 그걸로 끝나는 게 아니라 우리가 아파트 투자자라는 관점에서 주요 일자리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어디에 살고 있는지, A구나 B구에 살 가능성이 높은지를 생각해보는 것. 

그리고, 공급 물량을 분석할 때도 무작정 분석하기보다는, 먼저 그 지역이 공급에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는 점이 정말 중요! 공급에 따라 대표 단지의 가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확인한 후, 공급의 양과 질, 즉 세대수와 위치를 꼼꼼히 파악해야 한다는 것! 왜냐하면 공급 위치와 시기에 따라 영향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

또한, 모든 공급이 동일하지 않다는 점. 영향을 줄 수 있는 공급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공급도 있다는 것! 그래서 주택 유형별로 공급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 예를 들어, 물량이 많아 보여도 대부분이 임대라면, 공급이 많더라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시세 트레킹을 통해 투자와 연결되는 방법을 알려주셔서 정말 인상 깊었습니다. 시세 트레킹이 중요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어떻게 투자와 연결될 수 있는지 감이 잘 안 잡혔는데, 이 강의를 통해 지방 버전 시세 트레킹을 어떤 방식으로 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해 주셨어요. 특히, 지방은 연식이 중요하니까 생활권 별, 연식 별로 시세 트레킹을 하면 비교 평가가 수월하다는 점!

 

<BM>:

  • 임보 작성 시, 해당 지역을 주변 도시와 먼저 비교한 후, 지역 내에서 비교하기 (줌아웃과 줌인)
  • 20년 평균 공급 데이터를 통해 해당 지역의 찐 적정 수요를 파악
  • 주택 유형별로 공급을 세밀하게 확인
  • 월 1회 시세 트레킹하기

댓글


유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