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단독세대주입니다.
3강은 이야기만 많이 들었던 지역을
식빵파파님 표 키워드 정리, 파트별 정리로
아주 속속들이 클리어하게 알려주셨습니다.
덕분에 저 강의 지역과 이미 친해짐 🫶
현재 평균 전세가율도 높아 소액투자로
자산을 취할 수 있는 기회인 것을 인지시켜주시고,
강의 지역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임장중인 광역시에도, 수도권에도 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입지요소별 분석 포인트,
이 지역에 투자 의사결정 하기 전
주의할 점과 핵심요소들을 알려주셨는데
저는 여기서 특히나 사이다 힐링을 느꼈네요 ><
강의 지역으로 예시를 들었지만
결국 지방 중소도시 투자를 할 때
가치판단과 투자 의사결정의 기준은 비슷하게 가져가면
고민과 혼돈의 시간이 크게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C+ 생활권의 준신축 VS C- 생활권의 신축
C+ 생활권 준신축 84 VS C- 생활권 신축 59
구축투자를 해야한다면 꼭 봐야하는 두가지
투자를 하면서 쉬운 의사 결정법이나
예외없이 들어맞는 칼같은 기준같은 걸 기대할 수 없고
경험으로 채워넣어야 한다는 것을
시간이 갈 수록 점점 확실히 느끼고 있습니다.
나는 없는 그 의사결정의 방법과 확신을
좀 간접 경험이라도 하고싶어서 ㅎㅎㅎ
기회가 있으면 튜터님, 멘토님,
경험많은 동료분들께 거듭 묻게 되고
그로써 인사이트 레버리지 하고 싶었는데
이번 강의를 듣고 드디어 자체적인 정리가 딱 됐습니다 ><
가격과 투자금이 비슷할 때
조금이라도 더 벌 수 있을 단지에 투자한다
+ 내 마음이 편할 수 있을 것 같은 투자
전세금을 올려 받아 투자금에 보태야만 하는 싱글 투자자라
전세가를 무난하게 올려받을 수 있는 단지에 투자하고 싶고,
그런 투자를 해야지만 열매를 맺을 때까지
제가 좀 마음 편히 기다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큽니다.
그래서 오르는 전세가를 사람들이 충분히 받아들일 단지,
즉 가치 좋고 선호도 높은 단지에 미련을 두는 저란 사람..ㅎ
지금도 큰 틀에서 그 생각이 변한건 아니지만
이번 강의를 듣고 전세가 상승을 통한 투자금 회수보다
더 핵심적인 부분을 “비슷한 조건일 때"로 꼽아봅니다.
지금 충분히 싸고 (최고 중요)
>>>>>
가격과 투자금이 비슷한 단지 중에 (진짜 중요)
>>>>>>>>>>
조금이라도 더 벌 단지 고르기 (중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가 구축투자라면…?
투자금 회수도 작고 아담할 것이고,
매도를 할 때도 걱정되기 때문에 막연히 꺼려지고 ..
실제로 지역 내 선호 구축 안에서도
투자가부를 고려해봄직한 마지노선 단지를
직관적으로만 추렸기 때문에 정말 늘 모호했는데
사람들의 선호도 뿐만 아니라
지역 공급상황과 과거 데이터까지 같이 보란
가이드가 찐으로 실용적이라 좋았습니다.
마지막으로 기계적으로 하기 쉬운
시세 트레킹 파트도 좋았는데요!!
단지와 가격을 기입하는 동시에
비교평가까지 할 수 있는 진짜 좋은 방법이고
사실 지난 지기에서도 배웠지만..
1. 기존에 하던 양식에서 바꿔야하는 번거로움과 저항감
2. 그래도 그걸 이겨내고 바꾸게 된다면..
A, B, C 다른 지역들까지 한판에 보고 싶은 과한 욕심
두가지 원인으로 시작하기 엄두가 안 났습니다 ㅎㅎㅎㅎㅎ
알려주신 방법대로는 아니지만
그래도 난 시세트레킹 하고있잖아?
하는 정신승리로 버티며 안 바꾸고 있었는데..ㅎ
이번에 다시 듣고서야 “저평가 지역인 곳을 추려 전수조사”가 제대로 와닿았네요.
사실 투자할 수 있는 앞마당이 아직 많지 않아,
시세트레킹과 전수조사를 그냥 따로 따로
저평가 여부 상관없이 전부 하고 있었는데요.
지금이야 괜찮더라도 앞으로는 점점 어려워질텐데..
알려주신 방법으로 하면
더 뾰족하게 투자 타겟팅이 가능하고,
투자결론을 내기에도 더 수월할 것 같아
이번 임장지역부터 하나씩 해보려고 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수강생들에게 도움되는 실용적인 꿀팁
꽉 눌러담은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BM
공급캘린더 디테일하게: 주요 단지 들어오는 월에 지역까지 표기
교안 양식대로 시세트래킹 방법 바꿔보기
전수조사 항목 추가: 전고점 - 현재호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