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개요
읽은 날짜: 2024. 09. 01
STEP2. 본 것
Chapter1.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생각’을 이동하라.
-천재와 보통 사람 사이의 지적 능력 차이는 질보다 양의 문제이다.
즉, 천재들은 극도의 몰입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남다른 열정의 소유자다.
-몰입은 의식이 경험으로 꽉 차 있는 상태다.
-몰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목표가 명확해야하고 둘째, 일의 난이도가 적절하고 셋째, 결과의 피드백이 빨라야한다.
-몰입 상태에서는 두뇌 활용이 극대화될 뿐만 아니라, 가장 빠른 속도로 사고력이 발전한다. 또 몰입 상태가 되면 머리가 잘 돌아가 평소에 풀리지 않던 어려운 문제도 아주 쉽게 풀린다.
-자신의 능력으로는 도저히 불가능 해 보이는 수준의 일을 하도록 강요받지 않으면 내 안에 숨어 있는 능력은 영원히 빛을 못 볼 수도 있다.
-지극히 현실에 순응하는 삶을 살면 그 순간은 편할지 모르지만 인생을 정리하는 단계에서는 후회를 하게 된다.
Chapter2.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하여
-방해받지 않는 혼자만의 공간을 확보하고, 최소 일주일정도의 시간을 몰입 한다.
-몰입하려는 문제의 목표가 명확해야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게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고 감정선에 맞닿아 있는 문제를 선택하면 몰입이 좀 더 쉽다.
-관련 문헌을 미리 찾아본다. 더 필요한 자료는 완전히 몰입된 후 찾아본다.
-몰입하며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천천히 생각한다. 천천히 산책하는 건 생각도 느리게 해주므로 도움이 된다.
-저녁에 몰입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재밌는 운동을 하며 1시간정도 땀을 흘린다. 이땐 운동만 생각한다.
-피곤한 상태에선 제대로 된 몰입을 할 수 없으니 충분히 잔다.
-몰입시 선잠을 자는 경우가 많고, 이 때 생각나는 아이디어들을 적어둘 수 있는 노트를 가까이 둔다.
Chapter. 3 몰입은 뇌도 춤추게 한다.
-몰입은 심리학에서 이야기하는 자이실현 단계에서 자신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최고의 경험에 해당하며 영적 감정을 수반한다.
-몰입에 들어가려면 반드시(위기감을 활용하거나, 재미를 활용하거나) 목적지향을 이용하여야 한다.
-활동위주의 몰입은 사고 위주의 몰입보다 더 쉽게 터득 할 수 있다. 그러나 몰입의 강도나 중독성은 오히려 정반대로 나타난다.
-문제 해결을 위한 몰입을 할 때는 열애를 하듯, 보다 능동적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야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자신이 해결하려는 문제와 친구가 되려고 하면서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자세를 가지고 문제를 공략하는 몰입 활동을 추구해야 한다.
Chapter4. 교육과 몰입
- 문제를 처음 대했을 때 도무지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모르고 난감하게 느껴지는 경우, 포기하지 않고 계속 생각하면 고도의 창의적인 두뇌가 활동을 시작한다.
-아직 배우지 않은 단원의 아주 쉬운 문제를 한두 개 풀면서 용어의 정의를 파악하고 바로 그 단원의 어려운 문제로 들어간다. 이런 경험은 오랜 시간을 포기하지 않고 생각하면 아무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도 풀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기고, 앞으로 배울 내용과 개념을 완전히 파악하여 훨씬 더 효과적일 때가 많다.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높은 수준의 문제를 풀려고 노력하는 활동은 적어도 개인의 입장에서는 창의적인 노력이다.
-초보자는 먼저 쉬운 문제를 충분히 읽어 완전히 이해한 후 문제를 덮고 가만히 앉아서 생각만으로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해 구상해본다.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교육, 그리고 사고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하는 것은 빠를수록 좋다.
-재능이 뛰어난 학생에게 난이도가 높은 문제를 제시하여 지속적으로 깊은 사고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창의력과 사고력을 발전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유대인들의 교육은 몰입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드는 가장 이상적인 교육이었다.
Chapter 5. 직장생활과 몰입
-업무를 자율적으로 하는 습관부터 길러야 한다.
-몰입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한 번에 한 가지 일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Chapter 6. 몰입에 이르는 다섯 단계
생각하기 연습: 풀리지 않는 문제를 하루에 5번 20분간 생각한다. 2주이상 연습한다.
-논리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가 좋으며 생각만으로 문제를 푸는 체험을 반드시 해야 한다.
천천히 생각하기: 풀리지 않는 문제를 하루에 한번 2시간 동안 생각한다. 2주 동안 연습한다
- 조용히 명상한다고 생각하면 좋다. 목까지 받칠 수 있는 의자에 온몸의 힘을 빼고 눈을 감고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허리는 60도 이상 눕혀서는 안된다. 마음의 산책을 하듯이 천천히 문제를 생각한다.
-잠자리에 들 때 문제를 천천히 생각하다가 잠이 들면 좋다. 아침에 잠에서 깰 때도 천천히 생각하기를 실천하기 좋다.
최상의 컨디션 유지: 좋아하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매일 1시간씩 한다. 풀리지 않는 문제를 매일 2시간 동안 생각하고 일요일에는 하루 종일 생각한다.
두뇌활동의 극대화: 풀리지 않는 문제를 7일간 생각한다.
-해결 한다면 인생이 바뀔 수도 있는 중대한 문제에 도전을 해야 긴장도 되고 극도로 진지한 자세로 자신의 최대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처음 도전하는 사람은 시행착오를 겪기 때문에 한번에 성공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일년에 한두 차례 사고 주간을 만들어 도전하기 바란다.
가치관의 변화: 한 달 이상의 지속적인 몰입 체험
- 마라톤으로 치면 풀코스를 완주한 뒤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는 과정.
-해당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로 사고가 확장되고 가치관이 변화한다.
STEP3. 깨달은 것
-몰입적 사고는 사고력 교육과 지향점이 같은 것 같다.
이 교육이 반복될 시 확실히 문제 푸는 능력이 늘어남을 알고 있었는데, 책을 통해 왜 그런지 확실히 알게 되었다.
-책에서 나오는 몰입을 경험해 본 적이 없다. 가치관이 바뀌는 몰입을 경험해 보고 싶다.
STEP4. 적용할 점
명절을 이용하여 사고주간 만들기.
STEP5. 기억하고 싶은 문구
p.158 우리가 가장 쉽게 조절할 수 잇는 입력은 나의 생각이다. 생각에 의한 입력은 우리가 선택할 수 있고 노력에 의하여 크게 바꿀 수 있따.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삶과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p.197 내가 살아있는 시간이 유일한 기회이고 이 삶의 기회를 잘 보내느냐 그렇지 못하느냐는 나한테 달려있다.
p.257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자신이 뇌의 주인이 되어 문제에 대한 해결을 향한 체계적인 사고를 하는 ‘생각하기’를 해야 두뇌를 활용할 수 있고 지고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p.267 몰입적인 사고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의미 있는 인생을 살고자 하는 굳은 의지와 삶에 대한 자신감이 있어야 한다. 몰입적인 사고는 눈에 보이는 좋은 결과가 당장 나오기보다는 자신의 사고력과 창의성, 일을 즐길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p.273 천천히 생각하기의 방법으로 계속 생각하면 깊은 생각으로 바뀌고 여기서 계속 나아가 몰입도가 올라가면 생각하는 재미를 경험하게 된다.
댓글
행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