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작가 소개
서울대 금속공확과를 졸업하고 KAIST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서울대학교 재료공확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7년 동안 몰입 상태로 수행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최대한의 성과를 내고 행복감을 느꼈고, 이를 가르쳐주기 위해 책을 집필하였음.
2. 느낀점, 그리고 나에게 유용한 것
지금껏 겪어보지 못한 나의 능력의 최대치를 어떻게 이끌어 낼 수 있을까? 하는 물음에 한가지 답을 줄 수 있는 책이라 생각된다. 지금까지 큰 업적을 낸 많은 위인들이 몰입을 통해 성과를 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몰입의 시작은 천천히 생각하기 부터 시작해서 최종적으로는 가치관의 변화를 이끌어 내어 인생의 의미를 찾게 된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사람이 몰입의 단계에 이르렀을 때 이 상태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 운동과 충분한 수면도 병행하라는 것도 있었다. 몰입은 좋으나 삶에 있어 모든걸 버리고 몰입하게 되는 것도 경계한다.
3. 책을 읽고 실천할 단 한가지
- 문제가 생겼을 때, 천천히 생각해 보기
4. 연관지어 볼만한 책
- Onething
5. 핵심 내용.
[1장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생각을 이동하라]
[33p] 칙센트미하이는 몰입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 목표가 명확해야 하고 둘째, 일의 난이도가 적절하고 셋째, 결과의 피드백이 빨라야 한다.
=> 목표를 명확히 세우고, 결과의 피드백이 빠르게 설정하자. 예를 들면 숫자로 표현해서 목표 달성을 명확히 표현하자.
[41p] 지속적을 실천 가능한 페이스 찾기.... 자신만의 페이스를 찾아서 하루의 패턴을 만들고 이것을 반복한다....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피로가 누적되어서는 안된다.... 충분한 수면 외에 .. 규칙적인 활동도 패턴에 포함시켜야 한다.
=> 건강이 무너지지 않도록 관리하며 하자.
[47p] 잠재력을 끄집어내는 과정은 고통스럽지만, 한계를 뒤어넘어 잠재력의 발현을 경험하는 것은 살면서 느낄 수 있는 몇 안되는 소중한 순간일 것읻.ㅏ => 잠재력을 끄집어 내는 과정은 고통스러움을 인정하자
[2장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하여]
[61p] 적어도 1년 정도의 경험이 있어야 고도로 집중된 경기 즉 몰입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64p] => 몰입을 지속하기 위해 반드시 운동을 해야 하며, 이는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게 한다. 1시간을 넘기지 않도록 하라.
[65p] => 몰입의 기간동안 지치지 않기 위해 식사 패턴을 육류와 채소 중심으로 바꾼다.(절제의 성공학과 같은 맥락)
[74p] 뇌의 세타파가 나타날때 졸거나 잠들기 직전의 상태의 선잠 상태인데 이때 아이디어가 가장 잘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일한 문제의 꿈을 꿀때는 50% 몰입의 상태, 일어났을 때 바로 문제를 생각할 수 있을 때 80%의 몰입상태이다.
[94p] 문제를 생각할 때 머리가 아프다는 것은 스트레스가 발생했다는 것이고 이 경우는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하지 않았거나 생각의 속도가 너무 빨라서 베타파 상태에서 생각했을 경우가 많다. 주어진 문제를 되도록 천천히 생가하라.
[135p] 고도의 몰입에 이르는 상태에서는 잠자리에 들 때 아이디어가 떠오르기 시작하면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무리를 하기 쉬운데, 이때 쾌감을 유발하므로 여기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이런상황이 계획되면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아주 위험하다. 반드시 땀을 흘리는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3장 몰입은 뇌도 춤추게 한다]
[162p] 몰입은 산만한 상태에서 높은 집중도로 가는 행위이다 이것은 엔트로피를 낮추는 행위여서 결코 저절로 이루어질 수 없고 반드시 어떤 힘이 작용해야 한다. 이 힘은 기대감 즐거움등의 긍정정인 보상이나 위기감등의 부정적인 보상이 있다. -> 목적 지향을 이용해야 한다.
[168p] 나폴레옹의 성공철학 : 상상력 -> 좋은 계획(씨앗) -> 잠재의식(밭) -> 창조
[180p] 몰입은 활동 위주의 몰입/사고 위주의 몰입, 활동위주의 몰입은 쉬운것이 활동위주의 몰입, 어려운것은 사고 위주의 몰입. 하지만 중독성은 반대로 사고 위주의 몰입이다.
[188p] 능동적 몰입을 유도하는 죽음에의 통찰, 다가올 죽음을 항상 의식하면서 최선의 삶을 살 것을 다짐한다. 죽음과 가장 반대되는 삶을 살아야 한다.
[4장 교육과 몰입]
[203p] 자신이 풀 수 없을 것 같은 문제를 풀려고 매달릴 때 비로소 자신의 두뇌가 최대로 가동되고 최대의 능력이 발휘되는 것이다. 그러나 배우기만 하고 모르는 문제를 스스로의 힘으로 풀어본 경험이 없는 학생은 사고력이 발달하기 어렵다. => 스스로 실해해 본 경험이 중요하다.
[215p]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교육, 그리고 사고의 즐거움을 경험하게 하는 것은 빠를 수록 좋다.
[5장 직장생활과 몰입]
[244p] 수동적인 몰입은 스트레스를 동반하기 때문에 몰엡에 대한 부정적인 인상을 갖게 되고 급한상황이 아니면 몰입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동적인 몰입보다는 능동적인 몰입을 추구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하다.
[6장 몰입에 이르는 다섯단계]
[266p]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을 때는 추구하는 삶의 목표가 명확하고 건전하다. 그러나 컨디션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는 크고 건전한 목표 따위는 까마득히 잊고 될 대로 되라는 식으로 살게 된다.
[267p] 컨디션이 좋은 상태에 있으면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살아가지만 컨디션이 좋지 않은 상태가 계혹되면 자신의 의지대로 살아가는 힘이 약해진다. (매슬로의 욕구 단계설에서 기본적인 욕구가 만족되지 않으면 더 고차원의 단계에 진입할 수 없다.) => 규칙적인 운동을 포함하라
댓글
견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