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몰입"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9기 146조 제네시스]

24.09.03

< 1장, Work Hard 에서 Think Hard 로 ‘생각’을 이동하라 - #몰입현상 #사례 >

  • 하지만 ***‘내가 이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자 골똘히 생각하다 보면 언젠가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라는 마음가짐으로 몰입을 통해 응전하면, 즉 내 의식의 무대 위에 현재 나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 하나를 올려놓고 스포트라이트를 계속 비춰주면, 나의 무의식에서 그 문제를 해결해낼 탁월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솟아오르는 순간을 분명히 경험할 수 있다.

→ 아무리 해결될 것 같지 않은 문제라도, 골똘히 생각하는 것을 멈추지 말자. 결국 내 무의식 안에 답이 있고 ‘몰입’을 통해 세상 밖으로 나오게 하면 그 뿐이다.

< 2장, 본격적인 몰입을 시도하기 위하여 - #몰입준비 >

  1. 명확한 문제 설정(목표)

    → 미해결된 문제 중에서 중요하고 핵심이 되는 것을 택한다.

    → 목적에 따라 문제 설정하는 대상이 다르다.

    • 몰입 경험 자체 목적 : 자신이 잘 알고 있고 관심이 큰 문제
    • 문제 해결 목적

      → 초기 : ‘왜’ → 수렴적 사고

      → 몰입 상태 : ‘어떻게’ → 발산적 사고

  2.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의 확보

    → 기간은 적어도 일주일 이상 확보 한다.

    → 그 기간 동안 한 가지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주변 상황 정리 필요 (해야할 일 모두 끝내둠)

    → 주변 사람들과 갈등이 생기지 않도록 사전에 양해를 구할 것.

  3. 불필요한 외부 정보의 차단

    → TV 시청, 인터넷 서핑, SNS, 유튜브, 숏폼 등 외부 정보가 뇌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

    → 남들과 점심 식사 하는 것도 차단.

  4. 혼자만의 공간 선정

    → 한적한 장소, 독방

    → 자세가 편할 수록 집중이 잘 된다.

  5. 규칙적이고 땀 흘리는 운동

    → 극단적인 두뇌 활동으로 몰입에서 빠져나오지 못 할 수 있음.

    → 하루 종일 끊임없이 생각을 지속하면서 떨어지는 수면의 질을 올리는 역할.

  6. 단백질 위주의 식사

    → 육류 위주의 식단에 채소를 곁들여 섭취.

< 3장, 몰입은 뇌와 인생을 춤추게 한다 - #뇌과학 >

  • 우리의 몸은 목적을 원한다.
    • 우리가 하는 모든 행동의 바탕에는 목적지향이 깔려 있기 때문에 일단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면 맹목적으로 그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 몰입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위기감, 혹은 재미를 활용) 목적지향을 이용해야 한다.
    1. 절실한 목표 설정이 의미를 만든다.

      →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면 목표지향 메커니즘에 의하여 시냅스 활성화가 증대된다.

    2. 꿈은 이루어진다.

      → 몰입도를 올리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요소는 바로 뚜렷한 목표와 성취 동기다.

    3. 나폴레옹 힐의 성공철학
      • 확고한 목적 의식과 불타는 강렬한 의욕을 갖는다.
      • 명확한 계획을 세우고 착실히 실행해나간다.
      • 주위 사람들의 부정적인 견해는 깨끗이 무시해버린다.
      • 나의 목표와 계획에 찬성하여 항상 용기를 북돋워주는 사람을 친구로 사귄다.
      •  
  • 현대 뇌과학으로 밝히는 몰입의 메커니즘
    1. 모든 즐거움과 쾌락의 근원은 도파민
      • 마라토너스 하이(marathoner’s high)

        : 우리 신체의 마이너스 피드백이 극도의 고통을 무마하기 위해 뇌 속에서 엔도르핀을 분비하여 기분을 고양시키는 현상

      • 항상성(homeostasis)

        : 환경 변화에 적응하며 생명 활동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성질

        → 쾌락과 고통의 균형을 맞추려는 뇌의 작용

      • 도파민 디톡스(dopamine detox)

        : 스마트폰이나 인터넷 등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완전히 중단함으로써 도파민 분비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것

    2. 중독은 뇌 손상으로 이어진다.
      • 자극적인 콘텐츠에 노출되는 일이 지속되는 경우, 뇌의 편도체는 활성화되고 전두엽은 상대적으로 비활성화된다.
      •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

        : 튀어 오르는 팝콘처럼 강렬한 자극에만 반응하는 뇌를 일컫는 말.

  • 몰입은 손상된 뇌와 집중력을 회복시킨다.
    1. 왜 전두엽인가?
      • 편도체 : 감정적인 반응
      • 전두엽 : 이성적인 반응
      • 지연반응(delayed response)

        : 외부 자극을 받고 행동하기 까지 시간이 걸리는 현상

        → 동물 중에서도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 전두엽에서의 복잡한 처리 과정을 거치기 때문.

      • 성공 경험으로 인한 도파민 보상이 있어야 한다.
    2. 몰입이라는 쾌락은 마이너스 피드백이 없다.
      • 기분이 좋은 상태가 지속되다 보면 어느 순간 우울한 상태가 오고, 우울한 상태를 맞이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좋은 시간이 온다.
      • 몰입의 쾌감은 우울함과 교차하지 않는, 일관되게 기분 좋은 상태를 유지한다.
      • A10 신경에서는 자가수용체가 없어 마이너스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아 도파민의 유리가 증가해도 억제가 일어나지 않아 도파민 과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4장, 몰입으로 학교와 직장에서 핵심 인재가 되다 - #창의적사고 #행복 >

  • 천재와 보통 사람 사이의 지적 능력 차이는 질보다는 양의 문제다.

→ 결국 지속하는 시간과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끈기가 천재를 만든다.

  • 돈을 많이 버는 것이 행복의 충분조건은 아니다.
  • 행복은 몰입하려는 노력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만약 돈을 버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하더라도 몰입하여 그 방법을 찾아 일했다면 그 과정에서 행복을 경험할 수 있다.

< 5장, 약하게 혹은 강하게, 몰입에 이르는 여섯 단계 - #약한몰입 #강한몰입 >

  • 약한몰입 1단계 : 슬로싱킹 터득하기
  • 약한몰입 2단계 : 10분에서 10시간까지 도전하기
  • 약한몰입 3단계 : 10시간 이상 도전하기
  • 강한몰입 1단계 : 하루 이상 연속해서 생각하기
  • 강한몰입 2단계 : 일주일 이상 연속해서 생각하기
  • 강한몰입 3단계 : 한 달 이상 몰입하기

댓글


제네시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