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루메이] 24.09 투자에대한생각 독서후기

  • 24.10.06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투자에 대한 생각

2. 저자 및 출판사: 하워드막스 지음, 김경미 옮김 / 비즈니스맵

3. 읽은 날짜: 2024.09.19~10.03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좋은 책이나 아직 초보인 나에겐 너무 어려웠던 책. 생각보다 읽는데 너무 오래 걸렸고, 나중에 다시 한번 읽어봐야 할 것 같다.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 1. 심층적으로 생각하라]

#투자는 똑같이 반복되지 않음 #2차적사고 #다르게 생각하기 

투자에서 늘 적용 가능한 규칙이란 없기 대문이다. 환경은 통제 불가능하고 상황이 똑같이 반복되는 일은 드물다. 또한 투자자 심리가 시장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많은 변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신뢰할 수 없다. 

옳은 판단을 하는 것은 성공 투자를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다. 다른 투자자들보다 더 옳은 판단, 즉 남들과 ‘다르게’ 생각해야 한다. (2차적 사고하기)

 

[Chapter 3. 가치란 무엇인가?]

#변하지 않는 투자 규칙 #가치보다 싸게 사기 

가장 오래되고 가장 단순한 투자 규칙이 있다. 그것은 바로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는 것이다. 

내재가치보다 싼 가격에 사서 그보다 비싸게 팔면 된다. 

당신이 가치를 초과하는 비용을 지불한다면, 이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가치 상승이 있거나, 강세 시장의 도움을 받거나, 아니면 당신보다 보는 눈이 없는 매수자(greater fool: 이른바 바보 중의 바보)가 나타나야 한다.

가치에 대한 확고한 신념이 있어야만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기간을 버텨낼 수 있다. 

 

[Chapter 4. 가격과 가치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라]

#가치보다 싸게 사기

가치투자자에게 투자의 시작은 가격이어야 한다. 너무 비싸게 매입하고도 나쁜 투자는 아닐 만큼 좋은 자산은 없으며, 충분히 싸게 매입하고도 좋은 투자가 아닐 만큼 나쁜 자산은 없다

“잘 사기만 하면 절반은 판 것이나 다름없다.”

자산을 저가에 매수했다면 위의 문제들은 저절로 해결될 것이다. 내재가치의 평가가 정확하다면, 시간이 흐르면서 자산의 가격이 자산의 가치와 부합되어야 한다. 

“시장은 생각만큼 합리적이지 않아서, 당신의 (부채) 상환 능력이 바닥날 때까지 비합리적인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가치보다 싸게 사려는 노력이 실패할 때도 있지만,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다. 

 

[Chapter 6. 리스크를 인식하라]

#리스크인식

위기가 닥치기 직전의 몇 년 동안 당신이 알아야 할 모든 것은, 현재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아는 것에서 나온다. 

 

[Chapter 7. 리스크를  제어하라]

#리스크제어

리스크 제어는 호황에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래도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호황이 쉽게 불황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Chapter 9. 투자시장의 특성을 이해하라]

#약세장의3단계 #시장상황파악하기

약세장의 3단계

1단계: 소수의 신중한 투자자들이 강세가 만연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언제나 장밋빛일 수는 없다는 것을 인식할 때

2단계: 대부분의 투자자들이 상황이 악화되고 있음을 인식할 때

3단계: 모든 사람이 상황이 악화될 수밖에 없음을 확신할 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고, 그것이 무엇을 내포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는 사람들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이다. 시계추의 한쪽 끝, 즉 가장 암울한 시기에 앞으로 상황이 더없이 좋아질 것이라는 생각을 하기 위해 분석력, 객관성, 결의, 이왕이면 상상력도 필요하다. 그런 능력을 가진 소수의 사람들은 낮은 리스크로 흔치 않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쪽 끝에서 모두가 불가능한 것, 즉 영원히 좋아지기만 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가격을 정하면 뼈아픈 손실을 입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Chapter 10. 부정적 영향과 맞서라]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

1. 내재가치에 대해 확실히 이해해야 한다.

2. 가격이 가치와 멀어질 때 해야 하는 행동을 고수한다.

3. 과거의 주기를 충분히 숙지하여(처음에는 베테랑 투자자들의 글을 일거나 상담을 구하는 것으로, 나중에는 경험을 통해) 시장이 과열되면 보상을 받는 것이 아니라, 결국에 대가를 치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4. 시장이 극단적인 상황일 때 투자 프로세스에 서서히 영향을 미치는 심리를 철저하게 이해한다.

5. ‘믿기 어려울 정도로 좋은’ 상황은, 말 그대로 대체로 믿으면 안 된다는 것을 꼭 기억한다.

6. 잘못 평가되고 있던 시장이 더욱 잘못 평가되는 동안, 언제나 그렇듯 기꺼이 잘못된 것을 보려는 마음을 갖는다.

7. 같은 마음인 친구들과 동료들로부터 지지를 주고받는다. 

 

[Chapter 11. 역투자란 무엇인가?]

#시장상황에 따른 회의적인 태도 갖기

다수의 사람들이 고점에서 낙관적이고, 저점에서 비관적인 것이 문제다. 따라서 이런 상황을 유리하게 이용하려면 우리는 고점일 때 만연한 낙관론에 회의적이고, 저점일 때 만연한 비관론에 회의적이 되어야 한다. 

 

[Chapter 13. 인내심을 가지고 기회를 기다려라]

#잃지 않는 투자 

투자에 관해 가장 좋은 점 한 가지는, 실제 불이익은 손해 보는 투자에만 있다는 것이다. 손해 볼 투자를 하지 않았다고 해서 불이익을 당하는 일은 없다. 물론 보상도 없기는 하지만 말이다. (중략) 오크트리는 손실을 입을 투자를 하는 것보다는,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것이 낫다는 우리의 신념을 언제나 확고히 따랐다. 

 

[Chapter 14. 내가 아는 한 가지는 내가 모른다는 것이다]

#한계 인정하기

미래를 알기 어려운 상황에서 마치 미래를 아는 것처럼 투자하는 것은 미친 짓이나 다름 없다. (중략) “몰라서 문제가 되는 것이 다니다. 확실히 알고 있는 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 문제다.” 알 수 있는 것, 또는 할 수 있는 것을 과대평가하는 것은 대단히 위험할 수 있다. (중략) 자신이 알 수 있는 것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그리고 그 너머에서 모험하지 않고 그 한계 안에서 움직이는 것)은 상당한 강점이 될 수 있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투자에서 항상 적용 가능한 규칙은 없다. 투자자 심리가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옳은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남들과 다르게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기 위해 더 공부하고 나만의 통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겠다. 

2. 투자의 가장 기본 원칙 중 하나는 가치보다 싸게 사서 수익이 발생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그 것을 기다리기 위해서는 내가 판단한 가치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한다. 

3. 투자에서 중요한 것은 가격이다. 가치보다 싸게 잘 산다면 절반은 먹고 들어가는 것이고, 시장이 오랜 시간 비합리적일 수도 있지만 그래도 우리는 가치보다 싸게 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4.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손실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리스크는 존재했을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 제어는 호황이나 불황 상관없이 꼭 필요하다. 

5. 수익을 올리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잃지 않는 투자이다. 

6. 내가 아는 것이 모두 사실이 아닐 수 있다. 나의 한계를 인정하고 그 안에서 움직여야 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1등뽑기 할 때 가치보다 싼 가격인지 검토하기 

2. 매일 경제 신문 읽으며 시장 상황 파악하기 

3. 잃지 않는 투자 기억하기 

4. 자만하지 말고 나의 한계를 인정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18) 옳은 판단을 하는 것은 성공 투자를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다. 다른 투자자들보다 더 옳은 판단, 즉 남들과 ‘다르게’ 생각해야 한다.

(p.38) 가장 오래되고 가장 단순한 투자 규칙이 있다. 그것은 바로 “싸게 사서 비싸게 팔라”는 것이다. 

(p.47) 당신이 가치를 초과하는 비용을 지불한다면, 이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가치 상승이 있거나, 강세 시장의 도움을 받거나, 아니면 당신보다 보는 눈이 없는 매수자(greater fool: 이른바 바보 중의 바보)가 나타나야 한다.

(p.51) 투자의 성공은 ‘좋은 자산을 사는 것’이 아니라, ‘자산을 잘 사는 것’에서 나온다.  

(p.78) 위험이란, 일어날 일보다 더 많은 일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104) 리스크 제어는 호황에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래도 꼭 필요하다는 것이다. 호황이 쉽게 불황으로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p.167) 우리는 고점일 때 만연한 낙관론에 회의적이고, 저점일 때 만연한 비관론에 회의적이 되어야 한다. 

(p.207) 자신이 알 수 있는 것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그리고 그 너머에서 모험하지 않고 그 한계 안에서 움직이는 것)은 상당한 강점이 될 수 있다. 

 


댓글


루메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