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낀 매물 생초 매수 후 입주하려고 할 때 대출 어떻게 받아야 할까요?

정확한 답변을 원하시나요?

제목에 궁금한 점을 바로 알 수 있도록 조금 더 자세히 작성하세요. 최소 5자 이상

예시) 집 팔고, 다음 날 누수 연락을 받았는데 수리해줘야 하나요?

 

질문 내용필요한 정보를 자세히 작성하세요.

  • 질문이 길 경우 읽기 쉽도록 단락을 구분합니다.
  • 질문이 여러가지 일 때는 질문1. 질문2. 질문3... 으로 나눠서 작성합니다.
  • 특정 지역이나 아파트 단지에 대한 질문이라면 지역명과 아파트 이름을 정확히 작성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튜브로 많은 도움 갇은 후 생초 아파트 매수 하려고 합니다.

 

아무래도 전세낀 매물이 같은 조건대비 가격이 저렴해서 쉽게 놓기가 어렵네요.

 

후보 매물의 세입자 만기는 25년 4월이고

전세금은 4억 6천입니다.

저는 입주해야 해서 세입자분이 계약갱신청구권을 쓰기 전에(만기 6개월 전-2개월전) 등기를 쳐야 입주조건으로 세입자의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때 고민되는 부분은 대출인데요,

대출후(주담대) 3개월안에 입주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등기를 10월이나 11월에 칠 경우 입주가 어려워서 대출을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럼 이런경우, 보유하고 있는 현금으로 잔금을 내고, 세입자의 계약 만료 후 때 전세금반환대출을 받을 수 있는 건지요?

혹은 그때도 주택담보 대출을 받을 수 있는건가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꽃을든둘리user-level-chip
24. 10. 07. 15:43

소울님 안녕하세요 ^^ 매수후 입주를 고민하고 계시군요 :) 시기가 맞아야 할텐데 정말 고민이 되시겠어요. 우선, 현재 거주하고 있는 세입자 분에게 '갱신권 사용 의사'가 확인 되었을까요 ? 다른 곳으로 이사 갈 계획이 있으신지 한번 먼저 여쭤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만약 갱신권을 사용하신다고 하셔서 거절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만기 2~3개월 전에 주담대를 받는 것으로 계획해보시면 어떨까요 ? 그리고 입주는 세입자 분과 협의하셔서 만기일 전후로 조율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세입자분이 더 살기를 원하는 원치 않든, 소울님이 들어가고하는 상황이라면 세입자분과의 원만한 협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 그리고 주담대 같은 경우도 은행마다 요즘에 워낙 기준이 달라서, 다양한 은행을 알아보신 후, 입주 기간에 여유를 넉넉히 주는 곳으로 선택하시면 좋겠습니다 ^^ 어려운 상황이지만, 반드시 잘 해내실거라 생각합니다. 화이팅입니다 소울님.

오렌지하늘user-level-chip
24. 10. 07. 15:46

안녕하세요 Soul님 디딤돌대출의 경우 대출실행후 1개월내 전입후 실거주 1년 해야하지만 그외 보금자리론은 전입 및 실거주 의무는 없습니다~ 글을 읽어보니까 soul님 경우에는 세입자퇴거확약서 + 이사비 지원 정도로해서 처리하실 수 있는 방법도 있어요~! 부동산 사장님 통해서 매도자에게 말씀드려보세요! 빠팅입니다 soul님~!! 감사합니다 :)

미요미우user-level-chip
24. 10. 07. 17:29

소울님 안녕하세요 ^^ 세낀 물건 매수를 고민하고 계시는군요. 세입자 만기 6개월 전에 등기를 가져오실 때는 매매 금액 모두를 매도자에게 드릴 필요가 없습니다. 매매금액에서 전세금액을 뺀 차액만 드리면 되는 것이어서 이 부분 주담대를 제외한 대출과 보유하신 현금으로 해결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이후에 세입자 만기일(소울님의 입주일) 2개월 전에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서 세입자분의 전세금을 돌려드리면 된답니다. 성공적인 내집마련 응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