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월 300만원 직장인이 서울 내집마련 하는 법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나의 조건과 상황을 명확하게 판단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본 개념 강의를 잘 들은 것 같다.
정확한 수치나 기준점을 알게 되어서 좋았고 적용해볼 수 있는 포인트를 정리해보았다.
적절한 타이밍을 판단하려면 알아야 하는 2가지: 시기와 범위
⇒ 전세가율이 높고(평균57 이상), PIR이 낮을 때(평균 12 이하)가 바로 적절한 타이밍!!!!
→ 전고점 대비 90% 이상 회복하지 않은 단지는 -15% 이상 가격으로 매매하도록 시도해라
→ 2022년 말~2023년 초 최저점을 고려해서 그렇게까지 내려가도 버틸 수 있다면 매매하라.
⇒ 서울로 출퇴근 가능한 수도권 아파트와 광역시 신축 아파트 추천
⇒ 내집마련은 일반매매와 청약을 권한다.
⇒ 청약점수 60점 이상이라면 5년 안에 꾸준히 청약했을 때 될 가능성 높음
tip. 목돈은 나중에 받는 거 하지 마라 → ‘저축성 보험’ 하지 마라 → 보험금 나중에 한꺼번에 주겠다고 하는 보험
내 돈이 나가는 건 최대한 늦게!!!
내 돈을 받는 건 최대한 빠르게!!!
⇒ 내년(2025년) 7월에 스트레스 DSR은 타이트해지지만, 기준 금리가 낮아질 것이기 때문에 희석이 되서 대출 한도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첫번째, 지역(구) 선정
두번째, 동네와 단지(아파트) 선정
[상급지]
1그룹: 강남, 서초>용산>송파
2그룹: 마포, 성동, 광진, 양천
3그룹: 동작, 영등포, 강동
→ 공통점: 한강과 가까운 구 (부동산 방향성!!! 여기를 추앙해~
[하급지]
4그룹: 강서, 서대문, 동대문, 은평(녹번까지만), 관악(위쪽만)
5그룹: 구로,금천, 노원, 도봉, 강북, 중랑
→ 매매가 예산이 5억이면 기준 매매가 7억인 지역까지 봐라.
왜? 기준매매가는 평균치니까, 평균치가 7억이면 그보다 싼 아파트도 있다는 의미니까
댓글
에스페란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