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돈독모 덕분에 오랫만에 읽은 보도 섀퍼의 '돈'
읽는 내내 너무 좋았다.
주기적으로 읽어야 하는 도서로 선정...
본(인상적인 구절)/깨
33 가치와 목표가 일치해야 한다
-> 더불어, 가치와 목표 그리고 '행동'이 일치해야 한다
부자가 되기를 바라면서, 가난한 자의 행동을 반복한다면 어떻게 부자가 되겠는가?
40 당신의 취미를 활용해 돈을 벌라.
"먼저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생각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시오. 그 다음에는 그것으로 어떻게 돈을 벌 수있을지 생각해 보시오. 가장 좋은 방법은 이 질문을 매일매일 자신에게 던지고, 하루하루 더 나은 대답을 찾아가는 것이오"
41 삶을 최적화한다는 것은, 자신이 가진 시간과 가능성, 재능과 돈,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유효적절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말한다.
-> 나는 삶을 최적화하고 있는가? 아무 계획 없이 살면서 허황된 꿈만 꾸고 있지 않는가? 반성.
목표에 일치하는 행동을 하자!
41 많은 사람들이 휴가를 자신의 인생보다 더 철저하게 계획한다
-> 보도 섀퍼님.. 뼈 너무 세게 때리시는 거 아니에요? ㅜ_ㅜ
63 모든 문제는 성장의 기회를 동반한다
아울러 우리는 '이런 문제가 더 이상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어떤 상황을 만들어야 하나'라고도 물어야 한다.
-> 문제를 문제로 받아들이지 않고 성장의 기회로 받아들인다는 점이 신선하다!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해결해서 내 그릇을 넓히는 기회로 삼는 것! 안전지대를 벗어나란 말과 동일한 메시지와 동일한데 보다 적극적이다.
64 '내가 이 일을 해낼 수 있을까'라는 질문엔 포기 가능성이 담겨 있다. 더 나은 질문은 '어떻게 이 일을 해야 하는가'이다.
우리가 제일 먼저 던져야 하는 질문은 '왜'이 아니라 '어떻게'이다. '어떻게'는 해결을 찾고, '왜'는 변명을 찾는다
-> 그동안 얼마나 이 일을 해낼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반복해왔나.. 어떻게든! 방법을 찾아서 문제를 타파해야 한다
66 결정의 시점에선 '할 것인지 말 것인지' 먼저 물어라
-> DO!
고민은 이제 그만. 결정할 때. 그리고 내 결정을 올바른 선택으로 만들어갈 때!!!
84 나는 하루 일을 시작하기 전에 나의 성공일지를 기록하며, 자신감을 체계적으로 내 속에 불어넣는다.
-> BM하기! 매일 아침 성공일지 적기!
하루의 시작이 그날의 성패를 좌우한다.
내 결점보다 '강점'에 초점 맞추기. 하루를 자신감있고 긍정적으로 시작하기!!!
98 이 책에 나와있는 부자가 되는 기본원칙을 배우기는 쉽다. 그런데 세상에 부자가 그렇게 많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왜냐하면 가난한 채로 사는 것도 그만큼 쉽기 때문이다.
-> 보도 섀퍼님 뼈 그만 때려요2....
가난한 채로 사는 것이 더 쉽고 편하기 때문...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다고, 돈이 많았으면 좋겠다고, 경제적 자유를 꿈꾼다고 말하지만 실제로 부자가 많지 않은 것은 천원을 절약하는 것보다 쓰는 것이 더 쉽고, 임장을 다니는 것보다 침대에서 뒹굴거리는 게 더 쉽고, 임보를 쓰는 것보다 숏츠를 보는 게 더 쉬우며, 독서하는 것보다 웹툰보는 게 더 쉽기 때문... (다 내 얘기다..)
138 충고는 충고하는 사람이 자신의 상황을 변명하기 위한 위장에 불과할 때가 많다.
당신이 도달하고 싶은 곳에 이미 도달해 있는 사람을 제외한 다른 사람의 충고를 절대 받아들이지 말라.
226 "난 저렇게는 못 살아. 저렇게 살 수도 없거니와, 살고 싶지도 않아."
이런 생각을 가진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말이 있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싫어하는 일도 기꺼이 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 성공하는 사람들의 남다른 1%! 그걸 배우자.
기꺼이 지불하자.
248 잘 생각해 보아라. 자본주의에는 자본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다. 당신이 자본과 투자를 활용하지 않으면, 자본주의는 당신에게 아무 의미가 없는 말장난이 되고 만다. 경제적으로 당신은 석기시대 한가운데 사는 것이나 다름없다.
->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기 때문에 '자본'에 대해 알고, 이해하고, 활용해야 한다!
잊지말자. 나는 석기시대가 아니라 농경시대가 아니라 '자본주의시대'에 살고 있다는 걸
266 좋은 투자자는 경기 사이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돈을 벌어들이는 사람이다. 그리고 한두 번 잘못된 결정을 하더라도 전체적으론 돈을 불리는 사람이다. 그것은 기본 원칙을 충실히 따를 때 가능한 일이다
276 투자자는 돈을 '번다'. 그리고 투기자는 돈을 '딸 수 있다'.
-> 투기로 돈을 벌 '수도' 있다. 그러나 고정적인 수입 같은 것은 기대하면 안 된다! 그리고 투자는 팔면서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사면서 돈을 버는 것!!!
284 집을 여러분의 투자 자산으로 계산하지 말고, 일종의 사치를 누리기 위한 자산으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 대출로 집을 사는 것이 과연 투자인가? 에 대한 질문. 그리고 이어지는 "대출을 다 갚으면 그것은 내 소유 아닌가요? 그러면 그것은 투자가 되는 것 아닌가요?"라는 질문에 '대출을 상황해도 집은 여전히 짐이다. 왜냐하면 대출금을 다 갚게 되는 '언젠가'라는 게 대개 25년 내지 30년 후이고, 설사 빌린 돈을 다 갚는다 해도 당신 주머니로 돈이 굴러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란 답변. 그러면서 차라리 집을 사치재로 인식하라는 보도 섀퍼님의 말씀.
361 "보스에게 가까이 다가갈수록 자신도 그 일을 할 수 있다는 생각이 점점 확실해진다"
-> 모범이 되는 사람을 모방하라. 13장 당신의 부를 키워줄 네트워크를 구성하라는 장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그 분야의 최고 성공인, 상담인, 전문가 이 세 그룹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저 문구를 보고 든 생각은, 월부라는 좋은 환경이 있음에 감사하고, 그 안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내 주변의 5인을 찾아야겠다는 생각!!
성공인=멘토, 튜터님,
상담인=나보다 한발 앞선 모범이 되는 선후배, 동료들!
전문가=코칭으로 만나는 사람들을 비롯해 각 분야 전문가
367 농사일에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있다. 그것은 '뿌린 대로 거둔다'이다. 수확하기 전에 먼저 씨를 뿌려야 한다는 깨달음을 통해 인류는 수렵사회에서 농경사회로 이행할 수 있었다.
371 기부는 풍요의 표시다
375 수입의 일부를 기부하라
아직 능력이 충분하지 않을 때부터 시작하라
378 아는 것이 힘이라는 말은 틀린 말이다. 바르게 말하면, 아는 것은 실제로 적용될 때만 힘이 된다. 그러므로 지금 당장 강력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해라.
BM
1. 아침 하루 시작 전 성공일지 쓰기
2. 집에 가서 거실에 목표 크게 적어놓기(구체적인 숫자로) + 시각화해서 예쁜 사진들 붙여놓기!(꿈의 앨범 만들기)
3. 나보다 성공한 롤모델 5명 만들어서 지속적으로 컨텍하고 닮아가기
댓글
랑뽀v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