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의 활용
"그래프와 전고는 의존의 대상이 아닌
참고해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야 합니다.
가치는 결국 그래프가 아닌 내가 결정하는 것입니다."
전고를 넘은 시장이라면 어떻게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을까요?
단지의 비교평가, 1등 뽑기를 전고에 의존한 사람이라면 …..
단지를 비교할 때
임장 임보를 통해 파악한 가치로 가설을 세우고
그래프를 참고하여 확인할 수는 있지만
무조건 정답은 아니라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래프에 의존한다면
단지의 가치를 파악하는 실력을 키울 수 없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비교평가
비교평가는 어렵습니다.
강의를 통해 여러 튜터님의 지혜를 배워도
막상 적용하면 답이 선명하게 나오지 않았으니까요.
오늘 튜터링데이에서도
비교평가에 대해 질문을 했지만
튜터님께 만족할 만한 답변을 듣지는 못했습니다
그 이유를 생각해 봤습니다.
제대로 아는 앞마당(가치 가격)과 이를 통한 충분한 비교평가 연습 없이
당장 할 수 있는 방법을 요구하는,
영어 공부를 하지 않으면서
선생님께 영어 잘하게 해 달라고 떼쓰는 아이와 다르지 않았습니다.
(죄송합니다 튜터님 ㅠ)
게리롱 튜터님의
맞춤형 강의를 통해 무엇이 문제이고 부족한지 알 수 있었습니다.
재료와 연습이 부족하다면
지금부터 재료를 쌓고 연습을 반복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반마당이 많다고 한탄만 하고 있을게 아니라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해야겠다고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투자의 핵심
"투자의 핵심은
좋은 단지를 제 값에 주고 사는 것이 아니라,
덜 좋더라도 가치 대비 싸게 사는 것입니다."
싸게 사는 것이 왜 잃지 않는 투자인가
많이 들어봤지만
왜 중요한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게리롱 튜터님의 실제 투자 사례와
그리고 오늘 튜터링을 통해
이제야 제대로 싸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좋은 단지를 제 값에 주고 사는 것보다
덜 좋더라도 가치 대비 싸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가르침을 잊지 않고 행동으로 옮기겠습니다.
결국 제대로 아는 앞마당
비교평가를 잘하기 위해서는,
덜 좋더라도 가치 대비 싼 물건을 사기 위해서는,
시세 트래킹, 시세 스캐닝, 시세그룹핑 역시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앞마당을 만드는 것이 전제 되어야 합니다.
왜 현장이 중요하고
임장과 임보가 중요하고
그 한 달의 루틴이 왜 중요한지
제대로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저의 문제와 부족한 점을 메타인지 할 수 있었고
그렇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강의를 해주신 게리롱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