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지방에서 기회를 찾고있는
쁘이2입니다.
제주바다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A 지역에 대한 이해도가 향상 되었고,
선호도는 어떻게 파악해야 하는지
어디까지 투자 할 수 있는 지를
매듭지을 수 있어서
귀한 시간 이었습니다!!
이전보다 어떤 방식으로 분석하는지에 포인트를 잡고
강의를 들었더니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는 점도 배웠습니다!
지방에 대한 뇌피셜 금지
지방은 인구가 자꾸 감소한다는 편견
지방은 매도가 안된다는 편견
이런 편견은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인데요.
저 또한 아주 작은 지방 중소도시는 매도가 안될거야.
좋아하는 사람들이 없을거야 라는 생각을 하고
임장지로 가지 않았던 적도 있었습니다.
바다님께서는 인구감소와 상관없이
단지별로 뜯어 봐야 한다.
투자 기준에 맞는 걸 한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물론 수도권으로 인구가 집중되고
수요도 몰리지만,
지방에서 충분히 소액투자를 해나가면서
시스템 투자를 해나갈 수 있기 때문에
남들보다 조금 더 노력하면서
지방에서 투자를 해야겠습니다!
→ 어느 곳을 가든지 편견 금지!
내 안에서 벽을 만들지 말기
땅의 가치를 우선적으로 보세요.
예전에는 수도권이 더 쉽다는 표현을 이해하지
못했는데.
요즘 지방을 다녀보니
지방에서 땅의 가치를 잘 파악하는 것이
정말 중요해서
수도권 보다 조금 어렵다는 생각을 합니다.
제주바다님께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자주 헷갈렸던 것이
신축이나 땅의 가치냐 였던 것 같습니다.
이렇겠지~ 저렇겠지 단정 짓지 않고
전고가 어디까지 갔는지를 직접 확인하면서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 이번 임장지에서 가설검증을 1개라도 해보고
그래프로 확인해보기
그 지역 사람들이 되어보기
지방 투자의 핵심 포인트 인 것 같습니다.
왜 이 아파트를 좋아하는가?
좋아보이지는 않는데? 라는 의구심보다는
받아들이는 자세고
이 땅에는 희소성이 있구나.
이 희소성을 이해하면 단지의 가격이
이해가 되고
사는 사람의 소득 수준이 이해가 됩니다.
그 지역을 이해하면,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이 보이니
이번 임장지에서는
지역을 잘 이해 할 수 있도록
몰입해야겠습니다.
→ 받아들이기. 지역민의 생각 자주 물어보기
우리 지기반 동료분들 쫓아다니면서 물어봐야겠ㄸ ㅏㅎ
천장 알아야 그 다음이 쉽지!
저는 이번 강의에서 특히
꼭 적용해야겠다 라고 생각한 부분이
랜드마크를 활용해서
가격비교, 단지비교를 해나간 부분이었습니다.
이전에는 사실
랜드마크는 구의 대장 정도의 인식을
하고 있었는데,
지역별 랜드마크를 비교하고,
구별 랜드마크를 비교하고,
생활권간 랜드마크를 비교하고,
단지들의 가격일 비교하면서
좁혀나가는 방법이
비교평가에 좋은 방식 중 하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랜드마크를 활용해서 좁혀들어가기
임보에서 3P반영 할 것
투자의 바운더리 확정
지역에 대한 이해가 끝나고
단지에 대한 비교,
가격에 대한 고민들을 끝내고 나서
최종적으로 나에게 남아 있어야 하는 것 중에
하나는 투자의 바운더리였습니다.
지난 지투실전에서도 다른 동료분께서
임장보고서에 나는 이 지역, 이 구, 이 생활권에서는
신축에만 투자한다. 또는
어디까지 투자한다 라는 결론을 내셨는데요.
이 부분이 강의에 나와서 깜짝놀랐습니다.
단순히 이 지역에 대한 바운더리가 아니라
제가 임장하는 지역에 대한 투자 바운더리도 최종 설정을
하고 넘어가야지
이후에 투자 기준에서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임보에서 한 장의 장표로 투자 바운더리 설정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