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게리롱님 강의 잘 들었습니다
게리롱님께서는 개인적으로도 B지역이 힘들고 공부하기 어려운 지역이지만
왠지 친근하고 좋았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저는 이지역을 임장할때 완전 부린이였을 때라서 조원들과 한꺼번에
2개구를 임장하려다 보니 지역의 가치를 솔직히 정확하게 공부하지
못하면서 임보만 작성했었는데 이번 강의가 저에게는 B지역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의 시간이었습니다
제가 임장했었던 두개 구의 가치를 당시엔 정확하게 인지 못했지만
이번에 공부하면서 생각보다 학군, 환경, 일자리, 교통 등 뭐하나
빠지는거 없이 좋은 지역이기 때문에 사람들의 선호도가 있었던
지역이었고 그만큼 사람들이 많이 모여 사는 지역임을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B지역의 제일 큰 리스크라고 할 수 있는 OO의 상대성에 대한
명확하게 알려주셔서 좋았습니다
가장 좋았던 점은 항상 저가치와 저평가의 차이가 헷갈리고
어려웠었는데 강사님께서는 물건의 예시를 들어주시면서
명확하게 저가치와 저평가의 의미를 알려주셨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알게된 점:
역세권 아파트가 사람들의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2. 2호선이 B지역의 주요 입지를 지나고 있기 때문에 구상권, 원도심 위주의 1호선보다 더 가치가 크다는 점
3. 학교 학군은 다른광역시 대비 평이하지만 고등학교 가면 더 잘하는경향이 있고 특히
주변 OO에서 유학을 많이 간다는 사실
4. A지역은 공급이 2027년까지 많은데 사람들이 좋아하는 OO구, OO구에 입주가 많다는 것이다
적용할점:
1. 최근 이 지역의 학군으로서 의미가 있고 특목고 진학율도 높은 oo중학교 인데
이 학군이 과연 주변에 사는 사람들의 수요까지 끌어들일 수 있는 학군인지 더 생각해보기
2. 공급이 많은 지역은 반드시 지도에 날짜, 세대수까지 올려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