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3강 후기 [지투기 23기 5늘의 내가 5년 후 나에게 선물할조_참깨드레싱]

  • 24.12.03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BM

  1. 해당 입지가 가격으로 이끄는 선호 요인인지 검증을 반드시 한다

2. 지금의 공급 분위기와 비슷한 과거 시장을 보며 지금의 시장을 예측, 가설을 세워본다

3. 입지/연식으로 나눠 현재 시세를 한판에 정리해본다

4. 입지분석을 넘어서 해당 거주민이 어떤 요인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 ‘핵심선호 요인’을 명확히 가르마탄다

 

이번 지역분석 강의를 들으면서 참 벤치마킹할 점이 많아서 재밌게, 몰입하며 수강했던 거 같습니다.

여태 지역분석을 하면서 당연히 이 지역은 이러한 입지 때문에 가격을 더 받지!!! 와 같은 저만의 생각을 정립하였는 데 이런 선호요인을 검증하는 과정이 매우 부족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역세권? 학군지? 상권?? 건물가치를 최대한 비슷? 하게 맞춰놓고 입지요인을 분석한 점이 매우 의미있었던 거 같습니다. 

 

지난, 공급만을 놓고 특강을 여신 것을 봤습니다

수강은 못했네요 ㅠㅠ 투자 공부를 하면 할 수록, 지방에선 공급과 시세에 영향이 매우 긴밀하게 관련이 있기에 중요하다지만 결국 1개의 매물에 투자하는 것이라면, 공급이 많고 적음이 아닌 내가 투자하는 매물 가격!! 매물의 상황 상황, 투자시점 간의 입주물량 등이 더욱 중요하게 느껴졌기 때문이었던거 같습니다.

하지만 강의에서처럼 과거 시장을 복기해가며 현재 시장에서 어떻게 흘러갈 수 있을 지 미리 시뮬레이션을 그려보고, 예상을 해보는 것은 생각을 해본것과 안해본것의 큰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어디 지역이 먼저 전세가가 상승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겠다 라고 가설을 세워보고 검증을 해보는 시간은, 나중에 투자 고려할 때도 상당히 의미있을 것으로 생각되었습니다.

 

단지 하나씩 입지별 요소를 분석하고 어느 단지가 가치상 우위일지 고민해보는 데

각 요소별 충돌되는 부분이 있어서 어딜 우위에 두어야 하는 지 고민이 간혹 될 때까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강의를 통해서 정말 중요한 요인을 잊고 있었던 거 같습니다.

내 관점이 아닌 해당 거주민이 어떤 것을 선호하는 지! 대중의 관점을 이입하지 못한 탓이 컸던 거 같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도 입지분석이나 제가 생각하는 뇌피셜을 검증 하지 못하고 혼자 뇌피셜로 결론지은 것이 가장 큰 영향이라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선호 요인을 검증해보고, 투자 우선순위라는 기준을 두어야

투자물건을 결정하는 순간에 조금 더 빨리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겠다 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투자 우선순위!

우리가 입지분석을 하고 가격을 분석하며 하는 것도 결국 투자 우선순위로 귀결되는 것이고

가장 좋은 곳에서부터 해당 단지의 가격이 저평가 되었는 지, 내가 투자 할 수 있는 금액대인지를 검토해보며

빠르게, 뾰족하게 어떤 단지를 투자로 검토해야하는 지 정리되는 기분을 받았습니다.

 

반복해서 복습하고 적용하기 위해 노력해보며 

가장 중요했던

‘내 관점이 아닌 거주민의 관점에서 어떤 요인을 선호요인으로 두는가’ 라는 관점을 떠올려보며 지역분석을 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 

귀한 시간 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참깨드레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