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기대하던 그대로다.
자모님 강의는 기대된다. 이번에는 어떤 인사이트를 보여주실지!!
신도시 중 내가 검토하고 있던 3곳을 비교평가 해주셨다. 첫번째 강의부터 가슴이 뛰었다.
□ 신도시 투자대상 목록 : 광명시 / 안양(동안구) / 용인(수지구)
□ 비교평가 기준 : 전고점 / 상승시점 / 수익률(전저점과 전고점 차이)
→ 명확해서 좋다. 가치평가 생각보다 어렵다. 단지대 단지로 입지만 비교하다 보면 투자대상 찾기가 쉽지않다.
찾아도 나만 찾는건 아니더라. 내 눈에 보이는데 다른사람들도 다 알고있더라.^^
□ 우선순위 결정 : 신도시 투자가 끝이 아니다. 비교대상은 계속 늘어날수록 내 자산이 쌓여간다.
신도시 → 서울 4급지로 비교평가 범위 확장 필요(이번차수 원씽)
(1순위) 입지 독점섬 및 수요
(2순위) 전고점 및 수익률 등
□ 신도시를 한판으로 입지분석하기 : 1주차 BM
□ 신도시 입지특성에 맞는 생활권 순위 결정 : 동안구(학군), 수지(강남접근성, 학군), 광명(업무지구 접근성, 변화)
□ 광명의 분임루트 기준 결정 : 역세권 및 지하철 접근성 + 재개발 입주 단지 + 새로운 상권 + 환경 개선(상권 등)
□ 신도시별 기준 가격 각인 : 랜드마크 시세트래킹 필요성 및 중요성 이해(지역간 비교 기준 + 선호도 순위)
□ 구축투자 기준 : 모든 지역의 구축 투자가 능사가 아니다.(구축 투자가 가능한 지역 / 땅의 가치의 기준점 제시)
→ 안양시 동안구가 여러모로 중요하구나.(평북 재개발 후 입주하는 단지 관심 + 안앙역 주변 입주 세대 관심)
→ 인동선에 대한 언급이 없어 궁금(인덕원 및 평남 지역의 수요변화에 대한 자모님 생각→북수원 교통개선효과)
□ 신도시 투자 기준 : 지방처럼 투자해야 하는 지역에 대한 명확한 기준 제시(업무지구 접근성 나쁨/ 교통 불편)
□ 신도시 가치 분석
1. 직장+교통+환경(학군) : 분당/판교(넘사벽) 등
2. 교통+환경(학군) : 과천/동안구/광명 등
3. 직장+환경(자족) : 수원/화성/평택
□ 이번 강의 원씽 : 경기도 및 서울 비교평가(가격+가치)
1. 가치 : 입지분석을 통한 지역분석 및 단지별 선호도 확인
2. 가격 : 전고점대비 20%이상 하락+비교평가(전고점 유사)+덜올라 투자금 작은 단지
댓글
경제적해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