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투기 11기 35조 경제적해자] 2주차 수강후기

  1. 언론을 통한 분위기 파악하기 : 선별 된 정보만 받아 들이자. 소음과 정보가 공존한다. 팩트를 분별하자.
  2. 매매지수 비교를 통한 우선순위 파악하자.->서울 매매지수 비교하기(1차 : 권역별 선호지역 찾아보자)
  3. 매재지수 비교를 통한 투자가능 시점 파악->선호도가 낮은 곳은 투자가능 시기도 길다. 선호지역은 관심을 갖고 미리 준비해야 투자 가능하다.
  4. 통계적 전세가율에 변화에 따른 투자 시점 파악하기 : 현재 50%, 2년에 10%상승, 앞으로 2년 내에 전세가율을 기반으로 하는 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2년 동안 앞마당 늘려야 한다.->영등포/양천구/구로구 매력적
  5. 한눈에 보이는 지역분석하기 : 권역별 가격을 지도 한장에 표현하자. 가격이 눈에 잘 들어온다. 다만 랜트마크 단지들은 별도로 구분해서 관리하자. 저평가는 절대가를 낮게 매매할 때 의미가 있다.->가격을 상단/평균/하단 가격으로 구분해서 보자. 모든 단지를 할 수 없고 시세트래킹 할 단지는 별도로 구분해서 관리하자.
  6. 인구 비교 : 지도 한장에 표현, 색으로 구분
  7. 인구 특징 : 연령별 비율을 통한 특징 파악(입지 특징을 파악)
  8. 인구 분석 자료 추가 : 분석(전체 파악->특정 지역 파악)
  9. 공급 분석 : 부동산 지인을 통한 변화 추세 파악 + 엑셀을 통한 구별 공급계획 확인, 지도 한장에 표현
  10. 생활권별 구분 : 임장을 통해 생활권 구분+생활권별 특징 정리
  11. 직장 : 양적(종사자수)+질적(대기업 분포), 좋은 일자리의 증가율 파악(출처 궁금함), 지도 한장에 표현(종사자수, 사업체수, 평균연봉, 주요 직장)->요약 및 시각화
  12. 학군 : 숲을 보고 나무를 보자(전국 학업성취도 분포 자료를 만들고 내 임장지의 위치를 파악), 특목고 5% 이상의 진학률도 유심히 봐야함(선호요소)
  13. 교통 : 지도위에 교통수단별 이동시간을 표현(거리보다는 시간이 중요)->1장에 요약 및 시각화
  14. 호재 파악 : 교통 중심으로 파악+소문이 아닌 실현가능성을 보고 가격에 반영해야함->거품 때문에 과대평가 된 것을 매매할 수 있다.
  15. 재개발 : 같은 재개발이라고 다 같지는 않다. 땅의 가치가 높은 곳을 찾아봐야 함
  16. 단지 비교 : 가치성장투자, 소액 투자, 투자 후순위->지금은 후순위 투자는 노, 성향과 상황에 따른 선택 필요, 본인의 자금 사정에 따른 투자 방법 선택
  17. 지역별 입지분석 결과를 한장의 지도위에 표현하자.(지역분석을 한 장으로 느껴보자)
  18. 비교는 단지 vs 단지 : 같은 생활권이라도 단지별 특징을 구별하자.
  19. 정보와 자료는 한눈에 들어오게, 정리가 필요함
  20. 관심단지에 대한 트래킹 자료를 만들자. 가격 정리 샘플을 활용하자.
  21. 지금의 가격의 그 단지의 가치를 설명해 주지 않는다. 지금의 가격보다는 단지의 땅의 가치를 파악하자.
  22. 상황에 따른 비교평가 : 가격보다는 가치에 중점을 두고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

댓글


쥬디야user-level-chip
24. 03. 21. 21:50

잘 읽었습니다~ 고생 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