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주식을 하면서 더 돈을 잃었다.
팔기 전까지는 잃은게 아니라고 하지만, 지금 많이 물려있다.
오른것 내린것 손익 본 종목 하나하나 따져보면 어쩌면 본전이 될 수도 있지만, 보이는 걸로는 마이너스가 맞다.
주식투자의 실패의 원인을 살펴보면, 공부없이 기분에 따라 투자했기 때문이겠지.
주식을 3년정도 하면서 나만의 원칙이 생기기도 했다.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공부할 자신이 없다면 개인 종목은 하지말자. 미래 성장 방향에 맞는 etf를 구매하자.
이유는 단순했다. 개인 종목은 다 마이너스지만, etf는 수익률 10~30%를 보이고 있기에.
조금 더 안전한 수익을 낼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 스스로 하게되었다.
이번 강의는 부동산 투자의 원칙을 세우는 내용이었다.
저평가 여부 (가치>가격)
내가 보는 매물이 저평가 되어있는지 솔직히 아직은 판단하기 어렵다. 저평가 된 매물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앞마당과 비교평가하는 눈을 길러야겠지.
환금성
갈아타기는 하락장에 하는 거라는 말을 어디서 들은적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하락장에서도 팔릴 물건을 골라서 사야겠지. 나는 여러채를 보유할 수 없으니까, 환금성이 잘 되는 매물을 열심히 찾아야지.
수익률 (72법칙)
수익률=수익금/투자금(매매가-전세가) 이며, 72 ÷ 수익률 = 원금이 두배가 되는 시간
72 ÷ 20% = 3.6년?
>수익률 높이는 법
1)앞으로 가치가 오르는지 (수요/공급) 2)적절한 투자금, 전세금 상승 3)좋은 타이밍 4)수익률, 수익 둘다 중요
5)인내 (투자시장, 가치 신뢰)
원금보존
1)최악의 상황에서 이 물건을 얼마까지 떨어질까?
2)안전 마진은 얼마정도 일까?
3)혹시 전세가가 빠질수는 없을까?
5. 리스크 관리
1)시세차액 부동산 리스크
역전세 리스크 생각하기/ 대량공급이 없는지 체크하기/최근에 급격한 전세상승을 하진 않았는지/
상승시기가 언제일지.
2)리스크 헷지
적은갭 욕심을 내지 않기/ 입지물량 3년 이내 체크하여 입지독점성 가져가기/ 전세금은 5%씩 올리기, 전세보증금의 5~10%는 보유하기/ 고정적인 수입(월급)을 계속 유지하기
여기서 1번만 잘해도 저평가된 물건만 산다면, 뒤에 수익률과 원금보존은 자동으로 따라오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투자의 가장 기초가 저평가 된 물건을 알아보는 눈이겠구나. 다시 한번 느끼며 더 많은 지역과 단지들을 돌아보며 비교할 수 있는 단지들을 만들어 가야겠다 다짐해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