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유미s 입니다.
이번 2주차 강의에서는 줴러미 튜터님께서
임장을 통해 가치와 가격을 알아가고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는
찐 투자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알려주셨습니다.
또한, 가치 판단 후 실전 투자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매수에서 잔금까지 투자의 전체 프로세스를 다뤄주셔서
실전투자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들도 다뤄주셨습니다.
가치 있는 단지 ‘그 자체’를 알아가기
분위기 임장에 이어 단지 임장을 할 때 가장 잘 안되는 부분이
어떤 하나의 요소만을 기준으로 단지의 가치를 나눈다는 점입니다.
특히, 생활권 순위 또는 급지 기준이
단지의 가치 판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데요.
튜터님께서는 그런 급지의 편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또한, 단지 내부를 임장 다녀보면
단지의 컨디션을 선호도와 직결하게 됩니다.
연식대비 관리가 잘 되어 있거나
연식 그 자체가 가치에 바로 반영이 되는 경우들 입니다.
하지만, 단지의 선호도는 한 가지 요소만 보는 것이 아니라
네가지 결정 요소들(ㅇㅊ, ㄷㅈ, ㅎㄱ, ㅎㄱ)을 함께 보고
종합적으로 비교와 판단을 해야합니다.
이렇게 파악한 단지 선호도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는 가격과도 연결지어 보는 것을
이번 단지분석 때 적용해보고자 합니다.
BM) 단지의 네가지 결정 요소를 기반으로 가치를 판단한 후 가격 확인하기
화합할 협, 장사 상
가치있는 단지를 나의 자산으로 만들기 위해
매수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이
‘협상’의 영역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부사님, 매수자, 매도자, 세입자 등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협상을 통해
물건을 매수하고 운영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는 원씽은 바로
‘많은 대안’을 만들어내는 것 이었습니다.
실제 하나의 물건을 투자 하기까지
그 전에는 투자 물건을 모으는 행동을 하면서
협상을 게속해서 진행해야 하는데,
이 때 협상에서 끌려다니지 않는 방법이 되기도합니다.
이렇게 나의 손 안에 많은 물건들을 쥐기 위해서는
꾸준한 시세루틴이 필요했습니다 ★
당장 투자를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매일이 아닌 월/수/금 특정 요일을 정해서
루틴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느꼈습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전체 1등을 매달 뽑으면서
실제 투자를 하지 못하더라도
투자 실력을 꾸준히 늘려야겠습니다.
BM) 주 3회 앞마당 시세 전수조사
CEO 마인드를 가진 투자자
계약 프로세스를 하나씩 해나가다 보면
막상 배운대로 잘 되지 않을때도 있지만
배운대로 잘 하지 않는 경우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판단하기에 아주 작은 일이라고 할지라도
내가 매수하고자 의사결정을 내렸고
그에 맞는 행위들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CEO 마인드를 가지고 끝까지 챙겨야 합니다.
그럼에도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이 있겠지만,
이 상황을 그냥 흘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끝까지 책임질 수 있는 투자자가 되어야 겠습니다.
BM) 작은 돈도 허투루 다루지 않기
BM) 계약 과정에서 잘 모르는 상황이 발생하면 환경의 힘을 빌리기
이번 강의에서 실전 투자자로 성장하기 위해
꼭 알고 있어야할 내용들을 강의로 다뤄주셔서 감사합니다.
긴 시간 강의 해주신 줴러미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