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부동산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물가, 통화량, 경기, 수요(입지), 입지독점성
가치 = 수요(직장, 교통, 학군, 환경, 브랜드, 호재) + 공급(입지독점성:이 땅이 대체 가능하냐/불가능하냐)
가격저평가여부(가치>가격), 매수(매도)심리, 입주물량(공급), 투자기준
올림픽파크레온:
올해 11월부터 입주하고 있는 강동구 둔총동에 위치한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아파트 단지
10년 뒤 부동산 가격은 오를 것인가?
1986년~ 1999년 부동산 가격 인상x 이유
가격은 오르나 지역마다 다르다
절대 하락과 절대 상승은 없다.
서울만 오르고 부산은 안 오른다는 절대적인건 없다
전세가격은 어떻게 될가?
통화량이 늘어나면 물가 상승(인플레이션)
경제위기 - 디플레이션
통화량 변화 - 10년사이 2배 증가
전세가 - 10년사이 2배 증가
앞으로 2030년의 전세가는 어떻게 될 것인가?
-> 3천만/평
아파트 건설원가 = 재료비 + 노무비 + 경비(식비 등) + 토지
통화량은 왜 느는가?
지난해 경상수지 흑자 연 784억6천만달러…20년째 흑자
경상수지 추이
전세가격은 장기적으로 오른다-> 이유는 통화량이 늘어나기때문이다
그런데, 2023년 전세 하락(역전세)은 왜 발생할 걸까요?
전세가 오르면 -> 역전세 / 역전세->전세 오름
전세가는 공급(입주물량)의 영향을 받는다
서울, 경기도 입주물량 줄어든다
부동산지인 https://aptgin.com/root_main
입주물량이 많으면 전세가가 빠질 수 있다 ->전세 물건이 많이 나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세가의 향방을 가장 크게 가르는 요인은
신축 입주물량이라고 여겨집니다
입주물량이 적을 때 전세가는 오르고
입주물량이 많을 때 전세가는 내립니다
입주물량이 적으면 새로 들어가는 집이 적다는 뜻이니
예전에 전세 살던 집에서라도 돈을 올려주면서라도 존버를 하곤 하겠죠?
부동산 투자의 원칙 잡기
1.저평가여부(가치>가격)
투자물건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저평가되었는지!!!
매매 가격이 적정한가?
매매가격이 적정한 지를 어떻게 알까?
비교평가: 같은 가격일 때 더 가치있는 물건 / 같은 가치일 때 더 낮은 가격
가치평가: 직장, 교통, 학군, 환경, 호재/악재, 브랜드
2.환금성(부동산 환금성 나쁨)
그나마 아파트 환금성 좋음
오피스텔, 호텔분양 : 투자 반대
빌라, 상가 - 공부 많이 하면 투자할만함
3.수익률
투자금 대비 내 돈을 얼마로 돌아오는가?
수익률 = 수익금 / 투자금(매매가-전세가)
매매: 5억
전세: 3억
현시세: 6억
수익률 = 6억-5억 / 5억 - 3억 = 50% / 년
72의 법칙 (내 원금이 2배가 되는 시간)
72 / 수익률 = 원금이 2배가 되는 기간
72 / 3% = 24년
여러분의 적정목표 수익률은?
저평가 + 환금성 + 수익률 + 원금보전성 + 리스크 -> 교집합
투자 1년차: 잃지 않는 것
투자 2년차: 10%
투자 10년차: 20%
부자: 5% ~ 10%
무엇을 투자하는 것이 아닌 내 실력은?
실력 = 10년 동안 평균 수익률
2015년(KB기준)
매매 12억 전세 4.2억 투자금 7.8억
202년(KB기준)
매매 23.4억 전세 7억 투자금 11.4억
수익률 = 수익금 / 투자금(매매가-전세가)
연 24.3% = (23.4 - 12) / 7.8억 / 6년
총수익률 146% / 연수익률 24.3%
똘똘한 한채 vs 평범한 여러채
돈>시간: 성장가치투자(서울)
돈x, 시간 많다: 저평가 가치투자(지방)
투자여유금이 있으면 경기도 투자, 투자여유금이 없으면 지방 투자
수익률 높이는 법
앞으로 가치가 오르는 지(수요, 공급)
적절한 투자금, 전세금 상승
좋은 타이밍
수익률, 수익 둘 다 중요
인내(투자시장, 가치 신뢰)
4.원금보존(잃지 않는것)
얼마나 빠질지까지 고려(10억->6억)
이 물건을 통해 내가 겪을 수 있는 최악의 손실은 얼마일까?
안전마진!! -> 무릎 이하
서울:60%(강남1시간) - 10억->6억
강남: 50%
경기도:70%
지방: 80%
최악의 상황에서 이 물건은 얼마나 떨어질까?
이 물건의 전세가는 얼마일까?
이 물건의 안전 마진은 얼마인가?
이 물건의 적정 전세가율은 얼마일까?
혹시 전세가가 빠질 수는 없을까?
이 물건은 수요가 많고 입지 독점성을 갖는가?
이 물건은 단기 입주물량은 적정한가?
5.리스크 관리
원금보전 1원칙:
적정 전세가율 가져가자(지방 80%) / 전고점 대비 20% 이하인 지역
원금보전 2원칙:
입지독점성 / 입주물량이 적어야함 / 적정 입주물량(부동산지인 사이트에서 확인가능 / 호갱노노)
입지독점성 없다는건
시세차익 부동산의 리스크 리스크 햇지
하락보다 역전세 -> 적은 갭x (전세금 욕심x)
대량 공급 -> 입주물량(3년내), 입지독점성
급격한 전세상승 -> 무리한 전세가x, 전세금 5% 상승, 전세보증금 전체 5~10% 보유
수익 시기(상승시기) -> 모른다(길게), 고정적인 수입(급여)
너바나 부자되는 투자전략
—---------------------------------
어떤 파도가 올지는 알 수 없지만, 어떤 파도에서도 헤염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건 우리가 할 수 있다!
투자의 파도이론
강남/서초 ->송파(잠실)/판교 ->과천/분당 -> 용인/광교 -> 동탄/수원
시세차익 부동산 투자의 정의
낮은 가격에 사서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투자법
수익형 부동산: 월세
부동산 가치 = 토지가 + 건물가
투자의 단계
싸게(저평가) 사서(매수) 비싸게(가치有->가격 상승) 판다(환금성)
진짜 부자의 의미: 재산
투자사례(평촌)
매매차익 * 5채 = 20억
전세차익 2000 * 5채 = 1억
투자금 회수 & 수익률 20% 상승
투자사례(대전)
소액으로 투자
Low risk, Middle return
ETF보다 안전하고 은행보다 수익률 높은 투자!
투자사례(중동 - 송내역)
싸게 사는게 중요
리스크 관리 중요
10억 달성 = 하락장 인내
투자사례(성동구 왕십리자이)
누군가는 주저할 때 누군가는 도전한다
Not 완벽주의, But 완료주의
매매차익 * 5채 = 20억
전세차익 2000 * 5채 = 1억
투자금 회수 & 수익률 20% 상승
댓글
밸런스메이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