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청약통장… 나도 해지할까?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 최대치?! 해지하지 말고 이 글 읽어보세요!!

24.12.17

청약통장… 나도 해지할까?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 최대치?! 해지하지 말고 이 글 읽어보세요!!

 

 

안녕하세요.

으으음입니다 :)

 

 

청약통장 다들 하나쯤 가지고 계신가요? 저도 아무것도 모르던 때에 회사 선배님들의 권유로 청약통장을 만들어서 지금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청약통장에 납입 해야하는 금액이 25만원으로 증가 된 것과 동시에 자재비,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분양가 상승 등으로 인해 가입자 이탈이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 

 

 

청약통장… 나도 해지할까?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 최대치!!!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 수
  2.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 원인
  3. 올해 당첨 가점 커트라인
  4. 정부의 다양한 해결 방안
  5. 청약통장 해지할까요?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 수 

 

 

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한달 사이에 벌써 11만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660만 9366명으로, 전월(2671만 9542명) 보다 11만명 가량 줄은 숫자라고 하네요…!

 

 

 

 

 

올해에만 약 43만명이 청약 통장을 해지했습니다. 

 

7월 : 2만 2904명

8월 : 3만 8611명

9월 : 3만 8793명

10월 : 7만 4698명

 

이 처럼, 청약통장 해지가 꾸준히 증가하다가 11월에는 10만명을 뛰어넘는 사람이 해지를 한 것입니다… 정말 엄청난 수가 청약 통장을 해지하고 있습니다..!!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 원인

 

 

청약통장 가입자 이탈이 계속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두가지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1. 높은 분양가
  2. 낮은 당첨 가능성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발표한 ‘11월 말 기준 민간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민간 아파트의 평당 분양가는 4720만 7000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4720만 7000원이면 각 평형은 얼마일까요? 

  • 25평 기준 : 11.8억
  • 30평 기준 : 14.1억
  • 34평 기준 : 16.0억

으로 매우 저렴한 가격은 아니라고 보여지네요…!!

 

 

 

 

최근 분양을 진행했던 단지들의 분양가를 살펴보면, 

  1. 서초구 아크로 리츠카운티 : 6670만원
  2. 영등포구 e편한세상 당산 리버파크 : 5080만원
  3. 강서구 등촌1구역 : 4280만원 

으로 작년 동월 대비 38.0% 정도 분양가가 상승한 것으로 역대 최고치입니다..

 

 

반대로, 지방에는 미분양이 많아서 청약 통장이 없이도 주택을 구매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양극화도 심해지고 있네요… 

 

 

 

올해 당첨 가점 커트라인

 

 

분양 평가 업체인 리얼하우스에서 조사한 올해 당첨 가점을 살펴본 결과, 전국 민간 분양 아파트의 당첨 가점 커트라인 평균은 50.9점이라고 합니다. 

 

 

이는, 2020~2023년 커트라인이 41~48점대였다는 것에 비해서 치솟은 평균이라고 보여집니다. 특히, 올해 서울은 커트라인 평균이 63점입니다.. 그 중에 강남 3구의 커트라인 평균은 72점이라네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당첨 가점이 낮은 편이기 때문에 내가 당첨될 확률이 적다면 굳이 청약통장에 많은 돈을 넣어두거나, 꾸준히 돈을 넣을 이유가 없다고 느끼게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청약 통장에 있는 돈으로 기존의 대출을 갚거나, 좀 더 좋은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정부의 다양한 해결 방안

 

 

청약 통장 가입자 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결국 정부가 가입 금액을 다양화 시키고 가입 기간에 따른 우선 순위를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청약통장 가입의 문턱을 낮추고, 다양한 옵션을 제공해야 청약통장에 대한 관심이 늘어날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실제로, 정부는 ‘청약 지키기’ 정책을 내세웠습니다. 

  1.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액의 소득공제 한도 상향 (240만원 → 300만원)
  2. 청약통장 금리 인상 0.3%
  3. 기존 입주자저축(청약 예,부금 등)의 주택청약종합저축 전환 허용 

 

 

 

 

 

청약통장 해지할까요?

 

 

전문가는 ’청약 통장은 큰 금액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어렵지 않으면 청약통장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라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실제로, 청약 제도는 다양하게 변해왔고 시장의 변화 또한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저 역시도 최소 조건을 만족 시켜둔채 청약통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첨 가점을 높이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으니 청약도 무지성으로 넣기보다는 나에게 적합한 방법으로 관리하면서 공부해나가는 것이 실제 도움이 됩니다. 

 

 

청약 관련 강의를 추천해드립니다. 

(실제로 강의 듣고 청약 당첨 된 사람이 많다네요!)

 

 

 

 

분위기에 휩쓸리기 보다는, 청약도 제대로 알고 전략을 가지고 관리 해나가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수수진
24. 12. 17. 22:56

청약통장 정보 감사합니다:)

아잉붸붸
24. 12. 17. 22:59

저도 올해안에 해지하려구요..

보름달21
24. 12. 17. 23:14

흠.....그래도 가지고 있어 봐야겠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