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 지방투자의 기준, 지방투자자로서의 태도와 행동
1주차 강의를 통해 지방 투자는 수도권 투자와 어떻게 다른 지 어디에 조금 더 집중하고 어떤 걸 무시하고 또 고려해야 하는지 대략적으로 파악해 볼 수 있었다.
지방 투자 관련 강의는 처음인 데다 전형적인 서울 촌놈이라 지방 투자는 물론이고 지방에 있는 지역들 그 자체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도가 전무한 상태여서 지기반 수강까지 고민을 많이 했었다. 하지만 자모님도 나와 완전히 동일한 상태, 아니 훨씬 더 어려운 상황에서 시작했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 괜한 두려움을 떨쳐 낼 수 있었고, 투자는 '난이도가 있고 진입장벽이 높을수록 더 큰 수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을 되새기며 한달동안 치열하게 살아보자고 다짐해 본다.
[기억할 것]
* 개별성 - 지역 특성에 따라, 공급물량에 따라 사이클이 다름.
- 수도권의 풍선효과(갭 메우기)가 지방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개별 사이클 대로 움직임 ; 즉, 절대적 저평가 시장과 상대적 저평가 시장이 혼재되어 있음
* 선호도 - '지방=무조건 신축'이 아닐 수 있음을 명심.
- 지방 투자에선는 '선호도 파악'이 가장 중요 -->정량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아도 지역 사람들의 정성적 선호도가 가격에 반영될 수 있다.
* 지방 투자 결심의 이유 - 가치성장 투자보다는 담배꽁초 투자에 가까운 컨셉 --> 매도를 고려하는 투자를 해야 함
- 적은 투자금으로 조금 더 빠르게 수익을 낼 수 있는데, 그렇다고 조급해 하지 말 것 --> 저평가 물건 싸게 사서 5년 보유한다는 생각
* 욕심 부리지 말고, 하루 4시간 One thing 실천
[적용할 것]
*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방. '손품'에 보다 많은 정성과 시간을 들일 것
* 임장 지역 내 선호 생활권 / 선호 단지 확실히 숙지 --> 임장 시, 복기하며 매칭해 보기
* 광역시, 중소도시 별 랜드마크 단지 찾아보고 전고점/ 전저점 확인
댓글
희몽이형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