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낀 것]

 

  1. ‘한다’가 아니라 ‘잘 한다’가 되어야 한다.
  2. 더 좋은 가치를 가진 물건이 더 싼 물건을 발견하는 것이 실력이다
  3. 동별 순서, 단지별 순서, 지역간 비교 선호도 우선순위를 알아야 한다(기준 가격 아파트 머리에 넣기)
  4. 현장에서 실제 사람들의 거주 분위기가 어떤지 확인하는 작업(임장)이 필요하다
  5. 호재가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파악해서 비싼 가격에 사지 않아야 한다
  6. 생활권 분석을 통해 ‘상급지의 투자 범위’, ‘상위급지 시세 어떻게 움직이는지, 이유가 무엇인지’, '구축과 신축의 투자 장/단점을 이해해야 한다
  7. 시세그룹핑을 통한 가격 비교 작업, 같은 가격대 가진 물건들끼리 비교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8. 같은 투자금으로 더 나은 선택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이 ‘비교평가’
  9. 상급지v하급지로 비교하지 말고 지역 내에서 어떤 단지를 더 좋아하는지를 기준으로 결정할 것
  10. 노력을 덜 들이면서 목표를 달성하는 일은 없다.
  11. 독, 강, 임, 투 꾸준히

 

[B.M.]

  1. 임장을 통해 선호도 파악하려는 노력하기
  2. 시세그룹핑 임보에 넣기
  3. 같은 가격대 물건 정리해서 시세트래킹 하기
  4. 기준 가격대 물건 머리에 넣기
  5. 변화하려는 마음 가지고, 투자에 몰입하기

 


댓글


우수맘
25. 01. 05. 01:54

우와~~ 대단하시네요. 서투기와 실준반을 병행하시다니 저는 특강 빼고는 정규강의를 겹치게 들어본 적이 한번도 없었는데~ 박수를 보냅니다. ㅉ ㅉ 서투기 잘 마무리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