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25년 내마기로 시작한 고령남입니다.
1주차 강의를 들은 지 꽤 되었지만, 과제를 어떤 방향으로 해야되는지
이리저리 물어본다고 늦었습니다. 반성하겠습니다 :-(
(조장으로서 솔선수범해야 되는데...2주차 과제는 바로 해볼려고 합니다 !!
강의를 듣고 공책 정리하고, 내 집 마련이 먼저일까?(방향) 어디까지 살수 있을까?
나는 어디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을까? 이리저리 머릿속으로 정리하면서 과제와 함께
시작해볼려고 합니다. 준비 되었나요 ?! Go to the 고령남♥
→ 사실 제가 강의를 듣기 전에는 대구에 내 집만큼은 마련하자 !! 였습니다. 그리고 20대 중후반 이직을 통해
서울에서 지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나, 고심한 끝에 거절하고 현실은 혹독했기에 대구에서 줄곧 30여년
살아오면서 서울은 나와 거리가 멀게만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주위에서 서울에 살면 좋은 점들과 다양한
혜택 등을 이야기 하면서 한 번쯤 늦게라도 서울에 한 번쯤 살아보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다만, 서울 지역을 보면서 강남 3구가 아닌 "마포구"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마포구 內 주요
아파트 중에 "마포래미안푸르지오(마래푸)" 24평에서의 삶을 한번 그려보고 꿈꿔봅니다.
(앞으로 월부에서 열심히 배우면서 실제 마래푸를 한번 가볼려고 합니다 !!)
★ 50대 경제적 자유를 꿈꾸기에 50대 중반 입성 목표 ★
→ 너나위님께서 1주차 강의에 말씀하신 "내집마련 예산계산기" 를 실행하기 전에 현재 나의 현재 상황과
재정상태를 나열해보고, 어떤 방법으로 내 집 마련을 할 지 풀이해볼려고 합니니다. (시작)
1. 현재 상황 & 재정상태
일단 저는 30대로서, 미혼입니다. (고령남의 의미는 고령+남자, 경북 고령군에서 잠깐 살았을 때를 떠올리며..)
현재 연봉이 대한민국 대출 정책, 버팀목전세대출 등을 받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일반 직장입니다;;)
① 디딤돌대출 ②신생아특례대출(X) ③보금자리론(패스)
* 디딤돌 대출 *
- 저는 현재 30대이며, 세대원(세대주로 변경 및 6개월 이상 세대주 구성할 필요 있음) → 불충족
- 만 30세 이상의 미혼의 경우 전용면적 60제곱미터(59제곱미터) / 읍면 단위는 70제곱미터이며
담보대출 기준으로 평가액 3억원 이하, 대출 한도는 1.5억원 이하(생애최초 2억원 이내)
- 대구지역으로 보았을 때, 달성군(현풍읍, 옥포읍, 다사읍 등)에선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저는 패스하겠습니다.
그 이유는 20대 중후반 때 현풍읍과 옥포읍 APT를 2017~2020년 가격대를 본적이 있어서 먼 미래를 생각할 땐
구입할 필요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너나위님께서도 서울지역, 지방은 광역시와 상급지, 신규아파트 위주로
보라고 하셨기에 생각조차 안했습니다 ~ 감사합니다 너나위님)
★ 일반 대출로 결정 ★
2. 예산 계산 (내집마련 예산 계산기를 이용합니다)
① 종잣돈과 소득 작성
② 정책 대출 해당 여부 확인 (디딤돌 대출, 보금자리만 가능, 신생아특례대출 X)
③ 내 소득으로 감당 가능한 대출 확인
④ 규제지역별 대출가능액 확인하기
⑤ 최종예산 확인하기
결과적으로 일단 저는 미혼으로서 서민 실수요자로 채택되어서
규제지역과 비규제지역이 최종 대출 가능 금액이 동일하게 나옵니다.
제가 구매하고자 하는 집이 7억, 최종 대출 가능금액이 0억이므로 저의 종잣돈과
대출 가능금액을 합쳤을 때 남은 금액으로 0천만원이므로 즉, 너나위님 추가 대출로 계산하였을 때
0천만원까지 대출 가능하므로 7억집은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저는 정책 대출과 일반 대출로 나누어서 조사를 해보았습니다.
정책 대출은 대구지역, 일반대출은 서울지역으로 중점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종잣돈 + 일반대출로 or 전세 낀 매물 중심으로 보았습니다.
댓글
고령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