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기 15기 27조 금촌야식입니다.
지역별 투자 가능 바운더리 판단하기!
1강에서 가장 기억에 남았던 내용은 지역별 투자 가능한 바운더리가 다르다라는 것으로,
지역별, 생활권별 투자 범위를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눈을 길러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당 단지가 구축이라도 그 지역 내에
다른 신축 준신축보다 더 좋은점(학군,환경,직장,교통 등)으로 인해
수요가 있는지 투자 가능한지 확인을 해보아야겠습니다.
또한, 연식이 다른 단지를(구축 vs 준신축 / 구축 vs 신축 / 준신축 vs 신축 / 신축 vs 초신축) 비교할 때
연식과 땅에 가치 사이에서
상황별 어떤 게 더 우선인지 확인하고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이 되는지,
지역마다 생활권마다 확인이 필요하겠습니다.
bm
각 지역에서는 어느 정도 연식이나 단지까지가
선호도가 있는, 가치가 있는 단지인지 판단하고 바운더리를 정하여
임장과 임보를 쓰도록 해야겠습니다.
월부생활 중 가장 힘들었던 것은 임보의 벽이었습니다.
그런데 강의 중 임보를 기술적으로 쓰냐보다 투자를 잘하는 사람이 되야한다라는 말에
조금은 용기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입지 데이터 땡겨 쓰고, 정리하고, 임보 이쁘지 않아도 된다
정리가 잘 안되있어도 괜찮다
기준을 가지고 지역을 해석을 하고 있느냐 아니냐가 훨씬 중요하다
임보를 기술적으로 쓰냐보다 투자를 잘하는 사람이 되야한다
임보가 투박한 건 전혀 중요하지 않다
근데 그지역에 입지(인구 직장 학군 환경 교통)을 보고 해석하지 않고 넘어가는거,
순서와 위상을 확인해보지 않고 넘어가는 게 성장하는데 걸림돌이 된다
실전반 월부학교까지 가서 임보는 잘 쓰는데 투자를 못하는 경우가 있다
임보를 기술적으로 잘 쓰려하고, 디자인 템플릿 이쁜거 찾아보고
이렇게 쓰는 사람들이 투자를 잘하냐? 그건 아니다
자모님도 항상 100~120장 정도 썼고 이렇게 해도 충분하다
초보는 80~90장 정도해도 충분하다
너무 딥하게 들어갈 필요가 없다
입지분석 / 단지임장 정리 / 단지 분석하면서 어떤 수요가 있지? 이런 것만 정리해도 실력이 많이 는다
bm
임보를 이쁘게 쓰지는 못해도 해당 지역을 제대로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꼭! 임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