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돌맹입니다:)
요즘 직장인 분들 부업에 정말 관심 많으신데요.
제 주변만 해도 작게는 블로그 체험단,
크게는 유튜브 채널 운영이나 사업까지
본업 외로 추가 수입을 기대하시는 분들이 참 많은 것 같아요.
그렇게 막상 돈이 조금씩 들어오기 시작하면 이런 생각이 들곤 하죠.
“이거 세금은 어떻게 해야 하지?"
"이 정도는 신고 안 해도 되는 거 아냐?”
하지만 이렇게 사소한 부업 수익도 신고를 하지 않으면
나중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최근에는 유튜버나 스마트스토어 운영자와 같은
디지털 크리에이터들에 대한 세무조사가 강화되고 있어서
더더욱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입니다.
혹시나 부업으로 소소하게나마 수익을 내고 계시다면,
한 번쯤 짚고 넘어가볼 세금 이야기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바로 ‘연간 소득 300만 원’입니다.
만약 부업으로 번 돈이 300만 원을 넘는다면,
종합소득세 신고가 의무적으로 필요합니다.
소득의 크기가 작아 보일지라도 국세청은 이미 부업 소득을 파악할 수 있는 여러 장치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신고를 누락하면 가산세나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 광고 수익은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외화로 입금되는데요.
이때 연간 1만 달러(약 1400만 원)를 넘으면
국세청이 이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탈세로 간주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죠.
“내가 벌어들이는 부업 소득은 얼마고, 신고 기준에 해당하는지”를
정확히 확인하셔야 해요.
부업 소득을 신고할 때 또 다른 중요한 건,
이 소득이 ‘사업소득’인지 ‘기타소득’인지 구분하는 것입니다.
이 차이를 모르면 신고 과정에서 실수하기 쉬워지는데요.
사업소득은 정기적이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수익입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에서 광고와 협찬을 통해 꾸준히 돈을 벌거나,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해 정기적으로 판매 수익이 생기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런 경우 사업자등록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기타소득은 일시적이고 비정기적인 수익입니다.
예를 들어 단기적인 프로젝트 참여로 강의료나 원고료를 받은 경우입니다.
기타소득은 연간 300만 원 이하일 경우 신고 의무가 없지만,
300만 원을 넘으면 사업소득으로 간주돼 신고해야 합니다.
“부업인데 꼭 사업자등록까지 해야 하나요?”
하는 질문도 많이들 하시곤 하는데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부업으로 소소하게 활동하고 매출이 크지 않다면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매출이 커질 가능성이 있거나,
절세를 위해 더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싶다면 사업자등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업자등록 시
블로그나 유튜브와 같은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1인 미디어 콘텐츠 창작자’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스토어를 운영한다면 사업자등록은 필수입니다.
사업자등록을 하면 매출 규모에 따라
간이 과세자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절세가 가능하며, 신고 과정도 좀 더 명확해집니다.
부업 소득 기록을 철저히 관리하세요.
수익이 정기적이든 일시적이든, 모든 수익과 지출을 정리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을 기억하세요.
직장인이라면 부업 소득은 ‘근로소득 외 소득’으로 신고하면 됩니다.
부업 소득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면 사업자등록을 고려하세요.
특히 정기적인 수익이 발생한다면 절세와 세무조사를 대비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혹시 아직도 부업을 시작하고 싶지만 망설이고 계신가요?
요즘은 시간과 자본이 크게 들지 않아도
도전할 수 있는 부업이 정말 많습니다.
강의를 듣지 않으셔도 됩니다.
칼럼만 보셔도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댓글
부업 많이 궁금했는데 세금폭탄도 조심해야겠네요
세금폭탄 따져봐야겠어요!!
부업도 세금 잘 따져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