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제목 그대로 저번 달 열기반을 시작으로 월부에선 지금이 두번 째 강의이다. 처음 임장선정지부터 고민을 했었던 나는 우선 공부하겠다는 마인드로 집 근처로 임장지를 선택했다. 강의를 들어보니 앞마당이 한 개도없던 나는 탁월한 선택을 했다고 생각했다. 초보이면 직장이나 주거지를 선택해 임장보고서와 임장하는 법을 익히고 다음 과정으로 가기 위한 프로세스를 익히는 과정이라고 느꼈다. 현재로는 거주지인 강서구에 첫 앞마당을 시작했지만 그 다음 직장소재 구를 시작으로 점차 천안,청주,대전 충청권에 앞마당을 늘려가고 싶단 생각이 들었다.
월부에서 강의를 들으며 기억나고 중요한 키워드는 비교평가 , 앞마당, 저환수원리이지 않을까 싶다. 저평가 여부는 직장 교통 학군 환경 공급에따라 나누어진다고 배웠지만 이론만 터득했을 뿐 2강에서는 수도권은 큰 틀에서 입지>환경 , 광역시 학군>환경 , 중소도시 환경>입지라는 미세한 차이를 배움으로 써 다양하게 해석하는 법을 배웠고 평촌 같은 학원가가 유명한 특수한 지역에서는 입지보다 학군이 더 중요하다고 배워 투자자로 발돋움 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조금은 더 길렀다고 할 수 있겠다. 아직은 투자금이 적은 나로써는 지방으로 눈을 돌려야하고 각 지방의 특징을 파악하여 잃지 않는 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수도권보다 훨씬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느낀다.
추가로 1등 투자물건 뽑기 , 전세셋팅, 인테리어하는 법에 대해 배웠고 1등 투자뽑기에서는 아무리 좋은 매물이 있더라도 그에 비해 조금 덜 좋더라도 나의 투자금안에 들어오고 리스크 관리가 된다면 그 물건이 나에게는 가장 좋은 투자물건이라는 점을 배웠다. 전세셋팅과 인테리어는 이해하는 정도로만 듣고 인테리어는 살면서 처음 접해보는 강의였기 때문에 굉장히 신선하고 재밌었다. 허나 한달 차인 나에게는 아직 머나먼 숙제라고 느껴 이해하는 정도로만 그쳤다.
댓글
백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