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기 25기 대구49,서울도49조 토마토8 ] 여기봐바~ 딱뙇딱탁 나눌 수 있잖아? 한도시를 선호도 순으로 그냥 나눠버리는 강의 by 식빵파파

  • 25.01.20

 

기회의 B도시  

이번에 임장지인 B 지역에 대한 강의라 단 한번 분임만 해봣을뿐인데도 들리는게 달랐다 (거참 신기)

  • 해도해도해도 너무 싸다 !! 
    → 이말보다 더 필요한 말이 있을까  

    → 상대적저평가  절대적저평가  시장 중  초보자가 건드리기(?) 쉬운 시장은 어디일까를 생각해보면 수익을 떠나서 절대적저평가 시장이라고 생각한다.  
    → 잃지않은 투자에 더 가까운 시장이라 생각해서 지방에 관심을 둬야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 가장 매력적인 말이었던 듯 

 

  • 리스크가 거의 사라진 시장 

      

   => 싸고, 리스크없음 투자해도 될 지역이라 생각이들었다.   

 

 

큼직하게 나눠주고 나누면서 설명해주는 B도시  

  • 중심생활권 :   강남같은 곳, 학군지, 또 인프라가 있는 도시
  • 서쪽생활권: 신축, 학군지,  택지, 산업단지(일자리)
  • 동북생활권 : 편차있음, 베드타운 신축택지
  • 서남생활권: 옛 구도심, 상대적으로 아파트가 없음 , 신축 들어서는 중 

 

구별로 8만~ 50만 ㄷㄷㄷ 

 - 인구수가 이렇게 구별로 차이가 날 수가 있구나,,    

 - 분임때도 느꼈지만 대구는 진짜 화끈한 몰빵 도시 같은 생각이 ㅎㅎ  인구도 몰빵?  수성구, 달서구에 몰빵 

 

 

예시로 보여준 단지들인데 진짜 어마어마하게 떨어졌다.,. 역전세 어째 ㅜㅜ(많이 떨어졌다고 보여준건 아니었)    

 

 

  느꼈던점   

---선호도가 수도권과는 너무너무 다르다 

  • 수도권은 교통 교통 교통 이 그렇게 중요한데
  • 여기는 교통 중요하긴 하지만 동네에 훨씬 비역세권이라고 해도 상품성이 뛰어난 아파트 있으면 밀리곤한단다.
     이 상품성의 기준은 대체 어느 정도인거?   
      예시는 좀 많이 뛰어난 단지인 듯 한데 ….   
  • 임장을 최소 3곳은 해야 지방에 대한 감이 오지 않을까 싶다…  

 

 

  적용할점   

  • 인구 구별 또는 생활권 별 동별 세대수만 봣는데  그 지역에 인구가 왜 많이 사는지에 대한 이유를 정리하심 
      - 결국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
  • 업종별 종사자수 파악해볼 것  

 

 

 

  궁금한점 

  • 생활권별로  1등  >  2등  > 3등  이런식으로 분류를 해주셨는데   4등 생활권 단지보다  3등의 어떤 아파트라도 더 좋다 이런 느낌으로 설명해주신 느낌인데 …  복습해봐야겠다.  

 

 

 

 

정말 생활권별로 딱딱!!탁탁  순서 나눠버리고 

생활권 안에서도 뙇탁딱탁   순서 또 나눠버리고 

식빵파파님이 되어 그냥 싹!~~!  나눠버림 좋겠네요~

 

복습하자  

 


댓글


토마토8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