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쪼코홈런볼입니다.
벌써 지기반 마지막 주차가 되었습니다.
지기반 처음 시작하며 다짐했던 것들이
마지막 주차까지 잘 지켜지고 있는지, 하고자 하던 것들은 다 해내었는지 다시 한번 곱씹어보면서
지기반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1.지기반 강의의 목적
저는 앞마당으로 부산, 광주, 울산이 있지만, 대구, 대전은 아직 가보질 못했습니다.
하지만 앞서 1,2 강에서 지역 분석 강의를 들을때,
해당 지역의 이해는 부족하지만 튜터님들의 사고방식을 최대한 살펴보려고 하였습니다.
제 임보에 B/M해보려고 했고
앞마당이 아니더라도 튜터님들의 사고방식을 보며
이렇게 지역분석을 하고, 시세에 대한 흐름을 파악하시는구나 느끼며
앞으로 제가 만들어갈 앞마당에 적용해보겠다 다짐하였습니다.
지기반 강의의 목적은 튜터님이 분석해주시는 지역분석을 외우는 것이 아닌,
분석해나가는 방식을 보며 B/M할 점을 찾아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강의를 통해 임보에 B/M할 점
1) 광역시 2개구 이상 앞마당으로 만들었다면,
자음과 모음님처럼 입지 총정리 해보기!->입지 좋은곳, 입지 덜 좋은곳을 구분하고 신축/구축의 가격 밴드 나눠보기
->결국 시세를 머리속에 넣으려면 단순화 해야하므로, 00억~00억, 00억 초/중/후반 식으로 정리해서 머리속에 넣기
2) 직장 분석시,
직장의 양/질을 분석하고 산업단지의 경우 업종을 확인할 것!
(기존 양/질은 파악하고 있으나, 산단 업종 확인이 미비했음)
3) 학군 분석시,
지역 내에서 다른 지역의 외부 수요를 끌어들일만 한지 판단하기!
(기존에는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교, 학원가를 조사했다면 이후에는 좀더 생각을 담아 스스로 판단해보기!)
4) 환경 : 상권
상권의 종류(오피스상권/거주지상권/중심유흥상권 등)을 파악하고 지도에 위치와 함께 표기
(지적편집도를 통해 상권의 위치만 파악했다면, 상권의 종류도 함께 파악해볼 것)
5) 공급분석을 더 면밀하게!
-착공물량 파악을 통해 입주물량 예측해보기!
-공급 달력을 통해 잔금시점/재계약시점 검토하기!
-대규모 입주단지가 있을 경우 전세 갯수 트레킹해보기!
-> 시세트레킹 양식에 전세개수 작성하는 란을 추가하여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3.강의 후 어떻게 할 것인가?
1) 소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빠르게 종잣돈 만들기!
-강의, 임장을 위한 교통/숙박비는 고정비라고 생각하고
-변동비 중 절감할 수 있는 항목 찾기
2) 한달에 앞마당 1개를 만들기 위한 나만의 계획 세우기!
3) 임보 이후 트레킹을 통해 투자로 연결시키기!
꾸준히 앞마당을 만들어가며 기회 만들기!
이번 강의를 통해 지방투자를 준비하면서 고민했던 것들이 대해 답변을 들을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지방 투자를 진행하면서 흔들릴 때마다 이번주 들었던 내용을 복기하면서 마음을 다잡아가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4주간 고생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