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1. 책의 개요
마흔에 이룬게 없다고? 정상입니다.
(p.41) 하나의 커리어가 무르익어 프로페셔널이 되고 돈을 벌기까지는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다나는 것
→ 지금 하고 있는 투자공부, 힘들지만 끝까지 해볼 것
두번째 인생, 세컨드 라이프가온다
(p.47) 그래서 나는 꿈을중심으로 생애주기를 다시 정리하기 시작했다. 태어나서 20세까지는 유년기, 20대부터 40대까지의 30년을 첫 번째 꿈을 가지고 뛰는 ‘퍼스트 라이프’, 50대부터 70대까지의 30년은 두번째 꿈을 가지고 뛰는 ‘세컨드 라이프’, 그리고 80세부터 100세까지가 노후다.
→ 30대 후반, 아직 늦지 않았다. 충분히 꿈을 위해 도전해 볼 수 있는 나이이다.
10년 후를 즐겁게 기대하는 법
(p.67) 사람은 자신의 미래를 기대하지 않으면 절대 현재를 열심히 살 수 없다는 것을. 막내는 자신이 만든 버킷 리스트를 완수하느라 하루 14시간을 책상 앞에 앉아서 뭔가에 몰입하곤 했다. 신중하게 고민하며 버킷 리스트를 채우고 하루하루르 높은 밀도로 살아갈 힘은, 그만큼 자신의 10년 후를 기대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닐까.
(p.70) 이것이 40대부터 다시 버킷 리스트를 쓰면서 스스로 변화를 만드는 연습을 해야 하는 이유다. 꿈이라는 단어가 부담스럽다면 50대에 하고 싶은 일들을 가볍게 적어보는 것도 괜찮다. 바쁘게 사느라 애썼던 나에게 선물처럼 주는 버킷 리스트도 좋다.
→ 버킷리스트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기
비교하는 마음때문에 힘들어요
(p.89) 여기에 비교의 함정이 있다. 남의 꼭대기만 보고 비교를 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자신의 바닥은 좀처럼 보여주지 않는다. 그래서 자기바닥은 자신만 안다. 비교는 자신만 아는 바닥과 타인이 보여주는 꼭대기와의 대화다. 여기서 우리가 놓치는 것은 상대도 역시 나와 같다는 것이다. 그래서 기나긴 인생의 여정과 사건의 다양성을 놓고 보면 비교는 참으로 부질없는 게임이다.
→ 남과 비교하지 말자. 사람들은 그들의 바닥을 보여주지 않는다.
마음이 크는 나이, 마흔
(p.99)지금 우울하다는 것은, 내가 나약해졌다는 것이 아니다. 인생에서 너무나 중요한 질문을 하느라 내 마음이 한창 크는 중이라는 뜻이다.
나만의 인생해석집을 만들자
(p.118) 마흔 정도 되면 나에게 무엇이 성공이고 행복인지 정의할 수 있어야 한다. (중략) 모두 내가 몸으로 겪어내면서 만든, 가장 나다운 인생 해석이다. 이렇게 직접 만든 한 줄 한 줄의 인생 해석집은 살면서 비슷한 일이 닥쳤을 때 언제든지 다시 꺼내 쓸 수 있다. 이 세상에서 나를 가장 사랑하는 사람, 나 자신만이 줄 수 있는 해답이기에 누구의 위로와 격려보다 큰 힘이 된다.
나를 끌어내리는 것들과 싸워라
(p.125) 내가 나를 스스로 쌓아 올리지 않으면 남이 나를 쌓아 올리게 된다.
(p.129) 어떤 일이든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꽤 컬린다. 10년이 걸릴 수도 있다. 그동안 사람들이 보기에는 내가 이룬 게 보잘것없을 것이다. 그래도 이 시간을 견뎌야 한다. 나답게 살아간다는 것은 그만큼 강단과 확신이 필요한 일이다.
부부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만들어라
(p.164) 마흔이 넘은 부부는 서로에게 솔직하게 묻고 답해야 한다. (중략) 부부는 진심을 터놓고 ‘어른의 대화’를 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맞게 파트너십을 조정해야 한다.
→ 남편과 어른의 대화 하기
나만의 ‘원씽’으로 성장 근육을 키워라
(p.247) ‘나는 지금 성장 근육을 키우고 있는 중이야. 근육에 상처라 날 정도로 운동해야 근육이 단단해지는 것처럼, 지금의 힘든 과정을 거쳐야 내 영어 실력도 탄탄해질 수 있어.’
마흔에 한 번 성장 근육을 찢는 데 성공하면 그 경험이 고스란히 우리 안에 저장된다. 그리고 그 고통스러운 경험으로, 우리는 어떤 인생 문제도 풀어갈 수 있다.
→ 지금 힘든 경험들이 결국 나를 성장하게 만들 것이다.
(p.249) 꿈의 스테이지가 높아질수록 원씽이 점점 더 확실하고 뾰족해지면서 자신이 무엇에 집중해야 할지 알게 된다. 이런 사람들은 지금 단계에서 나에게 ‘에브리씽’이 될 수 있는 원씽을 찾고 성장 근육을 키우는 훈련만 하면 된다.
원하는 인생을 만드는 미라클 루틴 B.O.D (Being, Organizing, Doing)
(p.313) 앞으로 10년간 살고 싶은 모습을 루틴으로 만들어 내 하루에 넣으면 나라는 사람의 정체성이 바뀐다. 내가 원하고 꿈꾸던 모습으로 살게 되는 것이다. 내 하루는 루틴을 생산하는 가장 좋은 재료다. 절약과 저축의 루틴을 하루 안에 넣으면 저절로 부자가 되고, 운동이라는 루틴을 넣으면 저절로 몸이 건강해진다. 하고 싶은 취미를 루틴에 넣으면 10년 뒤에는 누군가를 가르칠 수도 있다. 루틴으로 좋은 에너지를 만들고 그것이 1000개가 쌓이면 영향력이 된다. 이는 갖고 있으면 자존감, 밖에 팔면 제품이 된다.
(p.315) B는 being 의 줄임말로 나의 존재와 대화하는 시간이며 B.O.D중에서 가장 중요한 본질적인 시간, 루틴의 심장과도 같다. O는 Organizing으로 하루의 스케쥴을 정리하는 시간이며 루틴의 머리와도 같다. D는 Doing으로 루틴을 실행하는 팔과 다리의 역할을 한다.
성찰과 반성으로 스스로를 치유하는 시간, 비잉
(p.328) 7 Being
반성: 어제 내가 한 일, 말, 행동 중 잘못한 일은 무엇이 있었나요? 그것에 대해 반성하고 새로운 결심을 해보세요
배움: 어제 내가 만난 사람, 사건들로부터 배운 것, 깨달은 것은 무엇이 있었나요? 그것을 정리하고 내 삶에 적용시켜 보세요
위로: 어제 내가 받은 마음의 상처나 시련은 무엇이 있었나요? 그것들을 적어 보고, 내면을 정리하고 치유하세요
사랑: 내가 만일 앞으로 6개월 정도만 살 수 있다면, 누구와 시간을 보내고 싶나요? 그걸 오늘 하세요
소망: 내가 만을 앞으로 6개월 정도만 살 수 있다면, 어떤 일을 완성해 놓고 싶은가요? 그걸 오늘 시작하세요.
습관: 내가 간절히 원하는 꿈이지만 미루어 왔던 일은 무엇인가요? 그 게으름을 깨고 오늘 배치하세요
성취: 어제 성취함 Doing을 리뷰하면서 부족했던 점은 무엇인가요? 오늘 그것을 수정하고 채워 보세요.
매일 성취하는 하루를 기획하는 법, 오거나이징
(p.333) 비잉의 시간은 하루의 뿌리와 같다. 뿌리가 없으면 가지는 물론 열매가 맺힐 수 없다. 아무리 바쁜 일상이라도 최소 30분에서 1시간 이상은 오늘을 리뷰하고, 삶의 방향을 점검할 수 있는 비잉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
댓글
루메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