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강 : 저환수원리를 투자로 연결 짓는 법
4강은 게리롱 튜터님의 비교평가와 1등 뽑기 프로세스 그리고 실전 지방 투자 사례까지
지난2강 잔쟈니 튜터님에 이어서 지방 투자에 대한 모든것이 담겨있는 강의였습니다.
지방투자를 고려하며 가장 많이 하는 4대 고민
각 고민들에 대해 비교평가의 관점에서 어떤것이 더 좋은 투자로 이어질 수 있는지
비교평가의 본질에 대해서 알려주셔서, 앞으로는 의사결정을 이렇게 하면 되겠구나!
라는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투자의 본질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라면
비교평가의 본질은 여러 비교 대상 중 저평가 된 것을 골라내는 것이고,
그렇기 때문에 비교평가를 잘하면 일단 싸게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무엇보다 이번 강의에서 좋았던 부분은 계속 변하는 시장 상황에도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해주시고 그렇게 강의에서도 알려주셔서
어디가 좋다는 입소문에 휘말려서 투자 하지 않는 투자자로써 단단한 기반을 쌓아가는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비교평가 A to Z
지난 실전반에서 서울 수도권의 비교평가 프로세스는 배웠지만
지방에서 적용하려니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특히 최종임보제출을 앞두고 있는 시기에 비교평가의 중요성이 더더욱 높아졌는데요
마침 게리롱 튜터님이 이 비교평가에 대해서 깊이 있게 다뤄주셨는데요
비교평가의 기본 원칙
가격을 고정하고 가치를 비교하는것
가치를 고정하고 가격을 비교하는것
두가지 원칙을 가지고 비교평가를 한다는 본질을 다시 알려주셔서 감사했습니다.
특히 1등 뽑기 프로세스에서
비교평가는 가치와 가격에서만 이루어지고, 투자금과 리스크는 저평가가 완전히 판단된 상황에서
나에게 맞는 물건을 뽑는 과정이라는것을 이번 강의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지방에서 단지 선호도를 판단하는 요소
입지, 상품성, 선호요소에 대해서 알려주셨는데요
튜터님이 실제 투자과정에서 하지 않으셨던 방식을 강의를 위해
도표화 해서 정리해주신 덕에 직관적으로 이해가 정말 잘 되었습니다.
그래프 비교 활용법
지난 실전반에서도 후바이 튜터님을 통해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 인데요
전고점과 그래프가 없는 상황에서도 가치를 판단할 수 있어야겠다고 계속 느껴왔었는데요
게리롱 튜터님이 그래프 비교를 의미있게 활용하는법에 대해서 정확하게 말씀해주셔서
아! 이런 상황에서 이런것을 보기 위해 써야겠구나 라는것을 확실하게 알게 되었습니다.
"
현장에서 가치 파악이 제대로 안됐다면, 그래프 비교는 더 헷갈리게 만들 뿐입니다.
-게리롱 튜터님 -
"
실제 지방투자 사례
비교평가에 대한 모든것을 배우고 이제 실전에서 튜터님이
어떤 의사과정을 거쳐서 투자하셨는지를 알려주는 시간이었는데요
줌아웃 → 줌인 구조로 해당 지역의 가치, 생활권의 가치, 단지의 가치를 판단하고
비교평가 프로세스를 통해 의사결정을 진행하는것 까지는 대부분 어려움이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제가 정말 중요하게 본 것은 수익률 검토 부분이었는데요
단순히 그 지역에서 가장 저평가되고, 가장 좋은것을 선택하는것이 아닌
내 상황에서 ~~한 이유로 이 단지에 투자하는것이 더 좋은 투자가 될것 같다 라는 생각이 중요하다는것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는 파트였습니다.
"
좋은 걸 제 값 주고 사는것 보다,
덜 좋아도 가치가 있는 걸 싸게 사는 게 투자로는 더 좋은 선택입니다.
- 게리롱 튜터님-
"
마지막으로 앞마당을 관리하는 세가지 방법
세가지 방법까지 알려주셨는데요
그동안 랜드마크 단지만 트래킹하거나, 전수조사만 하려고 했던 저를 반성하며,
경험에 의해 최고의 앞마당 관리 방법을 알려주신
시세트래킹을 예술로 만들어주신 게리롱 튜터님 감사합니다~!
"
여러분들도 가격이나 전고점, 그래프에 맞춰서 생각을 바꾸지 마시구요
여러분들이 직접 두 발로 걷고, 두 눈으로 본 것을 믿어주세요
그게 틀려도 괜찮으니까요. 그걸 계속 판단해보는 연습을 해야지
가치를 보는 눈을 키울 수 있구요 그리고 나중에 전고점이 없을 때 내가 가치를 판단할 수 있어요
-지방투자실전반 4강 게리롱 튜터님-
"
4강을 완강한 후의 저의 모습
댓글
이파리님 꼼꼼후기 감사해요!! :)
이파리님~ 스피디하게 올려주신 후기 감사합니다. 후기먼저 읽고 강의 들으러 갑니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