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챈맘] 돈버는 독서모임 - 부동산 트렌드 2025 (25.2)

  • 25.02.0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정재훈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1월 21일~22일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슈퍼사이클 #대세상승 #N파고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서울대학교 지리학학사, UC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 대학교에서 도시계획 부동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음, 현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중, 보스턴 소재의 상업용 부동산 리서치회사 PPR에서 오피스 가격 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글로벌 부동산을 연구, 주요 연구 분야는 빅데이터 기반  부동산 시장분석, 글로벌 오피스 비교, 공공민간협동개발등.

지은 책들 : <부동산 트렌드>시리즈, <2020 부동산 메가트렌드>,<도시개발 길을 잃다>,<리씽킹 서울>,<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2. 내용 및 줄거리

-p32 : 서울 아파트 시장 재상승의 단계에 진입했음을 확인한 두가지 분석 결과

1.부동산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골든크로스 가 발생했다.

2.전제 거래량 중 매매 거래량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의 의지가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

     →N파고의 등장은 어쩌면 서울이 유일한 상황이 될 수도 있음 

-p39 : 상승세가 퍼지는 지역은 따로 있다.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한강 이남과 이북지역에서 부동산 가격확산(동조화)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
-p70 : 고가(강남구,서초구)vs 중저가(노도성지역) 시장 비교로 보는 시사점

     1.고가와 중저가 아파트 상승의 시차가 존재

     2.고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권역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3.중저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비동조화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음 (개별지역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가격변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음)

-p93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주는 인사이트 

1.가격 상승기에는 강남구가 서울 전역에 비해 상승이 1~2개월 가량 선행 , 노원구는 서울 전역이 상승장에 진입한 후 후행해 상승장에 들어감. 고가 주택에 대한 수요가 먼저 몰린 후 서민 주택으로 수요가 확산되는 패턴이 나타나는 것임

2.부동산 상승기와 하락기는 매우 장기간에 걸쳐 나타남 따라서 사이클에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 가격 변화는 매우 장기간에 걸쳐 진행됨

3.부동산 사이클이 짧아짐 하락기의 사이클이 짧아졌다면 정체기 혹은 상승기의 사이클도 짧아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p234 : 대장 단지 분석으로 보는 서울 부동산 6가지 인사이트

1.대장 단지들이 전 고점을 돌파하며 상승 중

2.금리 인하는 시간문제다 : 따라서 금리 인하에 따라 향후 부동산 가격은 상승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3.거래량과 매매 가격이 같이 증가하고 있음

4.강남 3구의 상승세가 전이될 것

5.신축 아파트의 상승세가 퍼져나감

6.역대 최악의 공급 부족이 예상됨

-p243 : 2025년 서울시 아파트 가격 시나리오

-금리가 24년 6월 대비 0..25%p 인하될 경우 서울 전체 아파트 가격은 약 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됨

-금리 인하폭이 0.75%p까지 확대될 경우 가격 상승률은 10%에 이를 수 있음

-정부의 수요 억제 정책 ( LTV, DTI, DSR 강화 등 ) : 이런 정책은 단기적으로 가격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음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서울 투자를 앞두고 있는 나에게 서울 부동산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어떻게 움직이고 영향을 주고 받는지 알게 해 줌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상승이 나타나는 지역은 따로 있고, 한강 이남과 이북지역에서 부동산 가격확산(동조화)현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 

    고가/ 중저가 아파트의 상승 시차 존재하고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는 것

    인플레이션, 전세 가격 폭등, 정책 실패, 공급 부족, 금리 인하 이 모든 것이 부동산 상승과 연결되어 있음

 → 미루지 말고 이 시장에 빨리 참여해야겠다는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낌

 →그리고 시장 상황을 알고, 투자의 방향을 잡고 대응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함을 느꼈음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000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댓글


챈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